16page

키워드 프로파일링을 통한 분야별 국내독서 연구방향 분석 ∙ 15 할 것이다. 이런 연구를 통해 문헌정보학만의 차별화된 매체 및 텍스트 연구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며 ,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독자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학 분야의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도서관을 통해 이루어지는 독서관련 연구 는 교육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실행한다면 학교도서관의 전문적인 독서교육 신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교육학분야에서 연구한 독서환경 관련 연구는 우리 문헌정보학 쪽에서도 충분히 관심가 지고 연구를 진행하거나 공동연구의 연계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독서와 관련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흐름을 파악하고 한국 문학 분야와 교육학 분야에서 다루지 않았으나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다룰 수 있는 영역을 찾아 독서 관련 연구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문헌정보학 특성상 학문의 전 분야에 걸친 연관성과 유아부터 노인까지, 또는 직장인부터 주부까지 다양한 독서관련 계층의 확산을 고려하여 연구한다면 문헌정보 학 분야의 좀 더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수많은 이론과 함께 도서관을 기반으로 현장중심의 독서관련 연구들이 좀 더 활발히 이루어질 때, 타 분야와도 차별화되고, 독창적인 연구들이 수행될 수 있으며,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문적 위상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참 고 문 헌 ] [1] 김상욱. 2012. 독서운동의 현황과 방향. 독서연구, 27: 42-63. [2] 김승환. 2012. 독서교육과 독서활동. 강남대학교출판부. [3] 김영아. 2012. 독서치료를 통한 중년남성의 자아 존중감에 관한 정신역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4] 김판준. 2011. 저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독서 연구 영역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21-44. [5] 김판준, 서혜란. 2012.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전자기록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기록 관리학회지 , 12(2): 29-50. [6] 김판준, 이재윤. 2007. 연구 영역 분석을 위한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 회지, 24(4): 285-303. [7] 김혜영. 2010. 노인대상 독서프로그램 실행연구.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독서학과. [8] 김희정. 2005.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207-224. [9] 박성재. 2012. 소셜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공공도서관과 다른 기관과의 공간적 관련성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