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page


101page

수지구민들의 1919년 만세운동 광교산과 탄천이 어우러진 수지구는 이종무장군과 조광조선생등 선열의 묘소가 산재해 있어 충절의 정신이 면면히 흐르는 곳이다. 더구나 이곳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당시 격전지였기 때문에 나라를 사랑하는 주민들의 마음은 그 어느곳 못지않게 드높고 뜨거웠다. 1919년 3월 1일부터 우리민족은 일제의 가혹한 식민통치에 맞서 전국각지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항거하였다. 용인에서는 3월 21일 새벽 원삼면 좌전고개에서 만세운동이 시작되어 포곡면과 수여면, 양지면등지로 들불처럼 번져갔다. 수지구에서는 3월 28일 고기리 구장인 이덕균(1879년생)과 안종각(1888년생)이 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약속하고 마을사람들에게 동참을 권유하였다. 다음날인 3월 29일 아침 두 사람은 마을주민 1백여 명에게 태극기를 나눠주고,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동천리로 나아갔다. 4백여 명으로 늘어난 만세행렬은 풍덕천의 수지면사무소앞에 모여 다시금 소리높여 만세를 외쳤으며, 읍삼면 면사무소가 있는 마북리까지 나아가려 하였다. 이에 출동한 일제 헌병들이 해산을 명령하였으나, 주민들은 총칼을 두려워하지 않고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결국 시위대는 일제 헌병들의 무자비한 발포와 진압으로 가까스로 해산하였다. 만세운동은 3월 30일에도 이어져 수지면의 주민들이 음삼면 방면에서 온 만세행렬과 합세하였다. 어느덧 1천5백여명으로 불어난 만세행렬은 읍삼면 언남리 도로를 가득 메웠고, 만세함성 또한 천지를 진동하였다. 이에 당황한 일제 헌병들이 무자비한 발포를 가하였는데, 이로인해 안종각과 보정리 출신의 최우돌이 현장에서 피살되고 말았다. 일제는 만세운동 참여자들을 색출하기 시작하여 많은 수지주민을 감옥에 각두고 야만적인 고문을 자행하였다. 이덕균은 1년 6개월형을 언도받아 옥고를 치러야만 해으며, 수지면 주민 16명이 일제 경찰에 끌려가 태형 90대에 처해졌다. 비폭력 평화시위로 전개된 수지구의 만세운동은 비록 일제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해산되었지만, 독립고과 자유를 쟁취하려는 수지구민들의 뜨거운 열망을 세계만방에 떨친 자랑스러운 의거라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