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page


145page

동래읍성지(東萊邑城址)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5호 /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안락동 명륜동·칠산동·명장동 일대 이 성지는 조선시대 동래부의 행정 중심지를 둘러싸고 있었던 읍성이다. 충렬사 뒷산에서 마안산을 거쳐 동래향교 뒷산까지의 구릉지와 현재의 동래 시가지 중심지역인 평탄지를 일부 포함하는 지세에 전형적인 평산성(平山城) 형식으로 쌓았다. 산성과 평지성의 장점을 두루 갖춘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읍성이다. 삼한시대 이후 동래에는 독로국(瀆國盧) 등으로 불린 성읍국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그 때 이미 성을 쌓았으리라고 짐작된다. 그러나 동래성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高麗史)에 보이는 1021년(현종 12)에 동래군의 성을 수리한 것이 처음이다. 조선시대에 동래부는 대일 외교상 중시되어 관아의 규모도 크고, 격식이 높았다. 정3품의 부사가 재임 하는 왜적 방어의 제1관문이었다. 1592년(선조 25) 4월 14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일본군의 1차 공격목표 가 되어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을 위시한 군·관·민의 장렬한 전투가 벌여졌던 최대 격전지이기도 하다. 임진왜란 이후 방치되었던 성을 1731년(영조 7)에 동래부사 정언섭(鄭彦燮)이 나라의 관문인 동래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훨씬 규모가 큰 성을 쌓았다고 한다. 그 때의 성이 지금 흔적이 남아 있는 읍성의 기원이다. 증축된 성의 규모는 성곽의 둘레가 약 3.8㎞였다. 읍성에는 동서남북문과 인생문(人生門) 및 암문(暗門)이 있고, 각 문에는 문루가 있었다. 동문을 지희루(志喜樓), 서문을 심성루(心成樓), 남문을 무우루(無憂樓), 암문을 은일루(隱-樓)라고 한다. 중요한 문루였던 남문에는 익성(翼城)을 두었는데, 앞쪽의 세병문(洗兵門)과 뒤쪽의 주조문(朱鳥門)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었다. 나머지 문에도 옹성(壅城)을 부설하여 적이 성문을 쉽게 공격할 수 없게 하였다. 일제시대에 시가지 정비계획으로 평지의 성은 철거되고, 산지에만 성곽의 모습이 남아 있다. 지금 성내에는 북문과 인생문·동장대·서장대·북장대가 복원되었고, 치성(雉城)·여장(女牆) 등이 부분적으로 복원·보수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