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4page


294page

이소응은 강원도 춘천(春川) 출신으로 본은 전주이며 유학에 조예가 깊어 일반의 추앙을 받아 왔다. 1895년 을미사변이 발발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이러한 일제의 만행과 내정간섭을 규탄하여 전국에서 유생들이 중심이 되어 의병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중에서 춘천부를 중심으로 하여 1896년 1월초부터 의거의 기운이 농후하여졌으며, 감역(監役) 홍시영(洪時永)과 선비 이면수(李勉洙) 등이 방문을 붙이고 통문을 돌려 인심을 격동하였으며 선비 이수춘(李守春)·민영문(閔泳文) 등이 고을 사람들을 격려 고무하였다. 그리하여 1월 20일 유중락(柳重洛)·이만응(李晩應) 등을 중심으로 한 선비와 백성들 천여 명이 춘천부에 모여 습재 이소응을 대장으로 추대하였다. 대장으로 추대되자 곧 다음과 같은 격문을 지어 8도에 보내어 인심을 격동시키고 함께 거사하여 적을 토벌할 것을 호소하니 원근의 인심이 크게 분발하였다. "지금 왜노(倭奴)가 창궐하고, 국내외 적신(賊臣)이 그들에게 아첨하여 국모를 시역(弑逆)하고 군부를 늑삭(勒削)하기까지 하며, 만백성을 몰아서 개나 양의 무리 속에 빠뜨리고, 요순과 공자·주자의 도를 쓸어 없이하려 하니 황천상제는 위에서 진노하시고, 온 군대와 백성들이 모두 불공대천의 원수로 생각한다. 무릇 처처에서 봉기하는 충의의 장수들은 중화(中華)를 높이고 이적(夷狄)을 물리치며, 국가를 위하여 원수를 갚고, 치욕(恥辱)을 씻는 것으로 제1의 대의를 삼아야 한다. 의병이 이르는 곳 각 영(營), 각 읍의 장관으로서 편리할 것을 생각하여 관망(觀望)하며 곧 호응하지 않는 자나 적의 편에 붙어서 군정(軍情)을 방해하는 자가 있다면, 이것은 모두 이적금수(夷狄禽獸)의 앞잡이요, 난신적자(亂臣賊子)의 도당이니, 단연 군법을 시행하여 먼저 베고 후에 보고할 것이다. 여기에서 특히 일본인들에 대하여 왜노(倭奴) 즉 '왜놈'이라는 극단적인 호칭을 사용하고, 왜노와 거기에 아첨하여 따라 다니며, 국모를 시해하고 군부의 머리를 강제로 깎은 무리들을 불공대천의 원수로 규정지으며, 그들에 대한 복수 설치(雪恥)를 둘도 없는 큰 의리로 내세워서 의병의 명분을 뚜렷하게 하였다. 또 개화로 인한 풍속·사회의 변천을 크게 분노하면서 이적 금수의 지경이 되는 것을 구출하여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당시의 유림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향이었다. 이것은 이른바 오랫동안의 유교적 소중화(小中華) 사상의 일면모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에 대한 처벌 방법도 상당히 엄하여 각처의 관장으로서 즉시 호응하지 않고 주저 관망하는 자가 있으면 '선참후보(先斬後報)'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는 조인승(曺寅承)을 춘천부 관찰사 겸 선유사(宣諭使)로 보내어 도착하였는데 의진에서는 조인승이 원수의 역적들과 같은 무리라고 하여 잡아다 참형(斬刑)을 시행하였다. 이것은 개화파의 관원으로서 의병들에게 처형당한 첫 예가 되었다. 이 소식은 내각 대신들에게는 큰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당시 외부대신이었던 김윤식(金允植)은 조인승의 참형소식에 이어 청평(淸平)에 살던 참판 조인희(趙寅熙)가 의진에 가담하지 않는다 하여 역시 살해당한 소식을 접하고 '갈수록 놀랍고 참혹하여 통한스럽다' 말한 것이나, 명성황후시해 사건의 관련자로 파면되었던 조희연(趙羲淵)을 군부대신에 임용하고 이튿날로 곧 1중대의 병력을 춘천으로 파견한 것은 이러한 사실의 일단을 말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초기에 크게 기세를 올렸던 춘천 지방의 의병 세력은 그것이 대개 선비 중심의 봉기이었으므로 전술·전략에 익숙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신우균(申羽均)·김귀현(金龜鉉) 등이 지휘하는 관군의 공세는 날로 예리하여 갔다. 또한 성중에서 다시 관군과 내통하는 자가 생김에 따라 차츰 성내 인심이 흩어져 의진의 형세를 지탱하기도 어렵게 되어갔다. 이에 습재는 병력을 증강하기 위하여 몸소 지평 군수 맹영재(孟英在)를 찾아가 협상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2월 17일 결국 습재는 제천의 의암 유인석(毅菴 柳麟錫)의 의진으로 입진하였다. 이에 나머지 춘천 의진은 습재의 종형 이진응(李晋應)이 지휘하게 되었는데 곧 관군과 일본군의 집요한 공격으로 인하여 패전하고 주장은 전사하였다. 이후에는 진응의 아우 경응(景應)이 주장으로 추대되어 의진을 계속 지휘하였다. 습재는 의암을 따라 만주 봉천으로 망명하였다가 이역에서 순국하였다 한다. 습재는 춘천의 의병운동과 의암 의진의 활동 상황을 기록하여 「습재연보」「습재선생문집」 등의 저서를 남기기도 하였는데 이는 독립운동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출처 : 보훈처 공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