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page

Ⅱ. DMZ 관광의 정의 및 자원현황 - 9 - 형적인 경동지형으로 이루어져 동해사면은 좁고 급한 반면 반대쪽 사면은 넓고 완만 한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경기도 지역은 평야와 구릉지대를 형성하는 반면 강원도 지역은 백두대간에서 뻗어 내린 험준한 지형지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군별 지형 지리 특징은 <표 Ⅱ-2>에서 보는 바와 같다. 1.2. DMZ 활용 방안 연구 동향 DMZ는 남과 북의 대립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의미를 가진 곳이었으나 1971년 군사 정전위 로저스가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 방안을 언급한 이후 지금까지 다양한 제 안들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DMZ를 과거 대립의 상징이 아닌 평화적인 이 용이 가능하도록 군사적․정치적․경제적․역사적 관점에서 분야별로 DMZ 이용방안 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5) 접경지역의 화해․협력이라는 주제로 남북한 접경교류의 현 황과 과제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남북한 직접 교류․협력의 질과 양을 제고시키는 방 안도 제시되었다.6) 2003년에 제시된 경의․동해선 연결과 접경지역 평화벨트 구축방안7) 에서는 남북 접경지역에서 국토의 공동이용 및 자연환경보전을 통한 남북교류협력기반의 조성과 평화와 화합의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평화벨트 구축을 위한 협력지구 및 사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과 제도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DMZ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경향을 근간에 개최되고 있는 세미나를 통해 살펴 보면 크게 경제적인 측면과 자원보전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제 적인 측면에서 DMZ 활용방안으로 경기도는 파주지역의 통일경제특구, 강원도는 설악 금강연계지역의 통일관광특구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강원도는 금강권과 설악권을 중심으로 연계관광거점 조성 방안을 제시 하고 있다. 이는 설악․금강권을 동북아 지역의 관광허브로 만들어 많은 외국관광객 유치를 함으로써 남북간 평화공존과 평화통일의 기반을 조성하는 Win-Win전략이다.8) 5) 김인영, 김재한(1999),「DMZ - 발전적 이용과 해체」, 서울 : 天花. 6) 정규서, 최성철, 김재한, 강택구(2002),「DMZⅢ - 접경지역의 화해․협력」, 서울 : 天花. 7) 김영봉, 이문원(2004),「남북한 평화정착을 위한 비무장지대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제41권, pp.3~18. 8) 파주시, 경기개발연구원, 강원발전연구원(2005),「통일로 가는 길- 통일경제 및 관광특구 조성을 중 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