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page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 117 - 철원, 고성, 파주 지역만을 대상으로 검토됨에 따라 2차적으로 DMZ 전 지역을 대상 으로 한 개발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강원도는 사업의 첫 단계인 타당성 조사 용역 시행을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와 협의체를 구성하여 문화관광부에 지속 건 의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기존 안보관광지의 수요에 적합한 맞춤형 리모델링 사업이 필요하다. 이를 추 진하기 위하여 도차원에서 DMZ 관광자문 연구회 구성을 해야 할 것이다. 연구회의 기능은 기존 안보관광지를 근간으로 한 DMZ 전문 관광상품 개발, 지속적인 자원발굴 과 스토리 만들기 등 이며, DMZ 관광 전문해설사 육성을 위한 교육기능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밀착형 DMZ 체험관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군 차원에서는 접경지역 5개 군 연합으로 DMZ 관광진흥협의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협의회에서는 각 지 역에 적합한 관광객 타겟별로 DMZ 관광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학적인 홍보․ 마케팅을 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NGO, 지역관광관련 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2.2. 중 ․ 장기 정책 2.2.1. 국가적 차원 첫째, DMZ 관광을 글로벌 차원에서 진흥시키기 위하여 유엔환경기구 유치 등을 위 하여 국제적인 파트너십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면 유 엔환경기구 유치에도 도움이 될 것이며 세계유산 지정 못지않은 DMZ의 국제적 홍보 효과도 클 것이다. 둘째, 남북협력사업으로 구축된 DMZ 관광자원 DB를 근간으로 하여 남북 공동 DMZ 관광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즉 국가적 차원에서 남과 북이 함께 협 력하여 금강산 관광보다도 훨씬 가치가 높은 세계적인 명소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 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금강산관광에 대응한 강원도 DMZ 관광의 중심도시 육성이 필요하다. 이는 통일관광특구의 조기 조성을 통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