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page

Ⅴ. 강원도 DMZ 관광 활성화 방안 - 89 - 2. DMZ의 세계적 명소화 2.1. 세계문화유산 등록 33년 전 군사정전위 제315차 본회의에서 로저스 유엔군 수석대표에 의해 “세계에 서 가장 요새화된 DMZ를 비무장지대화 하자”는 평화지대 제안이 나온 이후 국제평화 지대, 남북교역 자유지대, 평화구역 설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 직간접 평화 정 책 등 수 많은 제안이 있었다. 지난 2001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DMZ 속에는 반세 기 동안 손 하나 까딱 안한 자연이 있다”고 한 뒤 ‘한반도 비무장지대 접경 생물권 보 전지역(The Korea DMZ TBR)’ 지정 논의가 나왔고, 이런 분위기가 지난 2004년에 열 린 서울의 DMZ 국제회의에서 ‘세계문화유산 등록’ 제안을 하게 되었다. DMZ 일원지역은 현재 세계에서 하나밖에 남아 있지 않은 동서냉전체제의 마지막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즉 냉전 생태계로서 독특한 모습과 과거의 역사를 보여주는 흔적들은 자연 생태학적 측면에서나 역사적 측면에서 그리고 인간이 만들어 놓은 문 화적 측면에서 매우 큰 가치가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은 DMZ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 를 보유하고 있으며 진정성이나 완전성에서도 그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볼 수 있 다.27) 그리고 DMZ의 세계문화유산등록 준비과정은 DMZ 자원의 글로벌 관광자원화 하기 위한 전제조건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강원도는 DMZ 및 접경지역의 생태자원을 지속 가능한 생태환경으로 보전 하는 한편 세계적 관광자원으로 육성해 세계유산에 걸 맞는 이용보전 프로그램을 마 련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DMZ의 세계문화유산등록을 위해서는 북한 당국과의 협의 가 추진되어야 하는 만큼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환경부, 통일부, 문화관광부, 국방부, 문화재청 등 중앙부처와 강원도, 인천, 경기도 등과 함께 문화유산등록 공동협의체를 구성하여 해결해야 할 것이다. 세 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해서는 최소한 총 2년 정도 소요될 것이며 타당성조사와 전문가 27) 이혜은(2006), "DMZ의 세계유산적 가치",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DMZ 생태․평 화, 제3주제 : DMZ 세계유산 지정과 생태평화특구 건설, 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