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 대한민국 NLL은 현실적 해상 국경선 국치(國恥) 100년, 광복 65년, 6·25전쟁 60년, 4·19의거 50년이 지난 2010년도 지나 고 새해 2011년 신묘년으로 전기를 맞는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공통적 이상과 염원이 있다면 그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이 분단된 조국을 평화적으로 통일하는 일이다.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조국이 우리 세대에 와서 분단되었으니 그 원인이야 어쨌든 우리 는 다시 하나로 통일해야 할 책임과 사명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소망과 염원만으로 통일이 성취되는 것은 아니다. 지난 2010년 한 해도 한반도에는 전운이 감도는 일촉즉발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쳤다. 북한은 핵실험을 감행하고 미사일을 수 차례 발사하는 동시에 “어떤 사소한 적대행위도 공화국의 자주권에 대한 침해로 낙인하고 즉 시적이고 강력한 군사적 타격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협박하였다. 북한은 천안함 공격 과 연평도 포격 이전인 2010년 1월 27, 28일 에도 서해 북방한계선(NLL) 근방에 포 사격 을 감행했다. 이에 따라 우리 해병대도 즉각 ‘경고사격’을 했다. 휴전선의 해상연장선인 NLL은 엄연한 현 실적 국경선으로서 한국이 지난 반세기 동안 일관성 있게 국권을 행사해 왔으며, 북한도 이를 남북기본합의서에 반영한 이상, 대한민 국의 정당한 영역으로 응고(凝固)되어온 것 은 기정사실이다. 북한의 ‘NLL이 휴전협정 조항에 포함되지 않은, UNC(유엔군사령부) 가 일방적으로 결정 통보한 잠정선임으로 무 효’라는 주장은 자가당착이다. 북한이 NLL을 부정한다 해도 분명한 사실 은 NLL이 1953년 8월 30일 정전협정의 안정 적 관리를 위해 설정된 이후 남북간에 지난 50여 년간 지켜져 온 실질적인 해상경계선이 다. 최근 서해 연평도 포격 사건과 NLL을 겨 냥한 북한의 해안포 도발은 백령도, 연평도 등 서해 도서의 군사적 가치를 재확인시켜 준 계기가 되었다. 백령도와 연평도를 지키는 해 병대의 전력을 증강 배치한다는 것은 북한으 로서는 혹만 하나 더 붙이는 격이 되었다. ▷ 서해도서 국가전략 전진기지(前進基地) 서해 5도 중에서 특히 백령도와 연평도는 북한에 가깝게 위치해 있다. 우리에게는 떠 있는 불침 전함이다. 적에게 목 앞에 비수(匕 首)를 겨누고 눈에 박힌 가시와 같다. 백령도 와 연평도는 북한이 수도권 서쪽으로 침투하 는 진입로가 되기 때문에 서해 도서의 전략 적 가치는 중요하다. 서해 도서와 NLL을 양보하면, 우리 인구 의 과반수와 국가전략 자원의 태반이 집중되 어 있는 수도권에 대한 전수방어가 불가능해 진다. 서울 서측방 한강하구가 적의 해상 접 근에 완전히 노출되어 거대한 인천국제공항 과 인천 및 평택 항만 시설이 북한의 테러 표 적으로서 언제 마비될지 모르는 위험을 자초 하게 된다. 휴전 후 반세기 이상 서해 6도와 강화도 및 그 서측방 섬들과 김포반도를 적의 침공 위협으로부터 지켜온 해병대와 해군 부대들 의 국방안보의지를 고취시키고 이곳 도서에 서 국군을 믿고 생계를 유지하는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줌이 국가가 할 일이 다. 특히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최북단 영토 인 백령도는 천혜의 전략도서로서 6·25전 쟁시에도 지켜낸 해병대와 해·공군의 전진 기지이며 불침항모의 역할을 해온 요새진지 인 것이다. 일단 유사시 이곳에서 적도(敵都) 평양의 관문인 남포항까지 최단시간 내에 신 속대응군 해병대가 수평, 수직, 그리고 초수 평 상륙수단으로 강압 진공(進攻)작전을 감 행한다면, 제2의 인천상륙작전과 같은 전략 적 전술적 효과의 극대화가 성취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백령도는 세계에서 두 곳 밖에 없는 해변 천연활주로가 있어 작전 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6·25전쟁 3년여의 엄청난 피의 대가로 얻 은 우리 영토는 황해도의 옥토를 잃고 강원도 산악의 3,900 ㎢를 더 차지한 것에 불과했다. 만약 북한이 설정한 해상경계선대로 NLL을 양보한다면, 서해 6도를 포함한 많은 섬들과 해역 및 황금어장 수만㎢를 상실하게 될 것이 다. 뿐만 아니라 6·25전에 우리 영토였던 개 성 및 옹진반도에서 피난해 온 실향민들이 북 한에 빼앗긴 고향땅을 생각하면서 지금도 눈 물을 흘리고 있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 11·23 연평도 포격도발 북한이 이번에는 물 밑에 숨어서 공격한 것이 아니고 대낮에 보란 듯이 해병부대와 민간인 주거지역에 무차별 포격을 가했다. 전시에도 민간인에 대한 공격은 불법이다. 2010년 11월 23일 북한군이 연평도에 무 차별 포격을 가해온 것은 오후 2시 34분쯤이 었다. 연평도 북쪽 10㎞ 안팎 거리의 북측 무 도와 내륙인 개머리 해안포 인근 진지 등에 서 해안포와 곡사포가 불을 뿜었고 곧이어 연평도 곳곳에 소나기 포탄이 떨어졌다. 북 한군의 1차 포 공격은 오후 2시 34분부터 55 분까지 21분간 계속됐다. 초기 피격 때에 우리 K-9 자주포 2문이 피 해를 입었다. 1문은 적 포탄에 직접 맞았지만 다행히 불발탄이었고 또 1문은 포 왼쪽 4m 지점에 떨어진 파편이 포를 때리면서 불이 붙었다. 사격통제장치가 고장이 나자 포대 안에 있던 통신병이 유선복구장비를 들고 뛰 쳐나갔다. 100여m를 뛰어가 불붙은 자주포 에 케이블을 연결했고 유선통신 재개로 지시 를 받을 수 있었다. 최초 포격을 받은 지 불과 13분 만의 반격이었다. 북한의 2차 포격이 시작된 직후인 오후 3 시12분 막사 옆 발전기가 고장났다. 정전으 로 지하 벙커 지휘소에 있던 장비가 작동하 지 않았기 때문에 자주포에 쏘라는 명령을 Vol. 38 대한민국 해병대 www. rokmc.mil.kr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