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6page

했다. 또한 정부는 정상회담, 주변 4개국 외교, UN안보리, G8 정상회담, ASEAN회 의 등에서의 국제적 공조를 통해 북한의 도발행위를 규탄하고 기존 UN안보리의 대 북제재 결의를 보다 엄격하게 이행하도록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전개했다. 그리하 여 한·미 2+2회담이나 UN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G8 정상선언문 채택, ARF 외교 장관회담 의장성명 채택 등의 성과로 가시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안함 사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중국 및 러시아와의 협조를 확보하는데 일정부분 한계에 직면하기도 했다. 중국은 안보리 문안 협상과 한 미연합훈련 등 사안에 있어 북한에 대한 중립적 태도, 나아가 북한을 비호하는 태도 를 취하는 등 우리에게 당혹감과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러시아 역시 북한을 규탄하는 안보리 의장성명 문안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조속한 천안함 사태의 종결과 6 자회담의 재개를 주장하는 등 우리와 일정부분 입장차를 노정했다. 게다가 국내의 일 부 NGO는 UN안보리에 사건 조사결과보고에 의혹을 제기하는 서한을 보냈으며, 일 부 학자들도 지속적인 의혹의 제기로 국제적 지지에 걸림돌이 되었다. 우리의 외교는 중대한 국가적 안보사안을 다루어나가는 데 있어서 국가이익과 상 충되는 국제사회를 상대로 보다 전략적인 외교를 시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현실적 으로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한·미·일 공조를 통해 북한의 도발을 억지하고, 한반도 장래문제에 중장기적으로 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국·러시아와의 외교안보 분야에서의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 북핵문제를 비롯한 한반도문제의 평화적이고 원활한 해결을 위해 이들 국가들과의 협조가 긴요 하다. 그리고 외교안보정책에 대한 국내적 지지의 확보도 중요하다. 외교안보정책에 대 해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데 국내적 지지의 확보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해시키는 정부의 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일곱째, 국민과의 소통 노력 강화이다. 정부는 천안함이 피격된 초기 단계부터 일관되게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사건의 발생에서부터 원인조사의 과정을 비롯한 전 과정에 신중을 기했다. 국방부와 합참 및 각군 공보관계자를 비롯한 군 관계자들은 사건의 실체에 대한 정 천 안 함 피 격 사 건 백 서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