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page

위원회 검열단을 보내겠다는 식의 맞불작전을 펴면서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고 정 면으로 반박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이 5월 24일 대국민 담화에서 밝힌 바와 같이, “북한 의 책임을 묻기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한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 한미동맹 관계를 기본축으로 국제적 공조를 통한 사태 해결을 도모했다. 이로써 천안함 사태는 UN안 보리에 회부되었고, UN안보리에서는“천안함 침몰을 초래한 공격행위를 규탄 (condemn)한다”는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UN안보리 의장성명은 천안함의 침몰과 46명의 인명 손실을 초래한 무력 공격을 개탄하고,‘천안함의 침몰’이 역내·외의 평 화와 안전을 위태롭게 한다는 점을 상기시키며,‘유엔헌장과 국제법 관련규정에 따라 평화적 해결을 위한 사건 책임자의 적절하고 평화적인 조치’를 촉구한 것으로써 북한 의 책임을 사실상 배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정부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상황을 맞아 초기 대응과정에서 많은 시행착 오와 혼란을 겪었다. 사건의 원인 조사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언론을 포함한 일부 의 혹세력이 제기하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고, 대국민 설명과정에서 피격 사건 발생시각 번복, 열영상관측장비(TOD) 영상자료의 단계적 공개 등으로 국민의 불신을 자초하기도 했다. 북한군에 의한 천안함 피격사건은 사상 초유의 해군 함정 폭침이었다는 점에서 전 세계인을 경악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건의 발생과 그 처리과정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우리 군의 군사대비태세와 국가안보태세 전반에 걸쳐 깊은 성찰과 반성을 요하는 중 대한 과제를 남겼다. 첫째, 국가안보태세의 재확립이다. 우리 영해에서 해군 함정이“북한군 잠수함(정)의 어뢰공격을 받고 침몰당했다”는 사실은 무엇보다 우리 군의 군사대비태세가 미흡했기 때문이다. 북한군은 2009년 11 월 대청해전 이후에 공공연히‘보복성전’을 선언하며 위협했고, 우리 군 또한 대청해 전 이후에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여 전술토의를 실시하며 대비태세를 갖췄다. 그러나 해군은 기존 해상전 위주의 작전방식을 그대로 유지했을 뿐만 아니라 북한 잠수함 (정)의 탐지에 제한사항이 있음을 간과했다. 그리고 사건 전후 정보감시체계에서 일 부 북한 잠수함(정)이 식별되지 않았음에도 이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했다. 제 6 장 맺 음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