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내세우면서 대북정책의 기조를 바꿀 것을 끊임없이 요구했다. 북한의 강경태도는 2008년 7월 발생한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에서도 확인 되었다. 우리의 무고한 민간인이 북한군의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북 한은 진상조사 등 우리 정부의 정당한 주장을 무시하면서 오히려 사과를 요구했다. 2008년 8월 김정일의 건강 악화 이후, 북한의 대남 강경조치는 한층 수위를 높여 전개되었다. 이는 군사적 긴장조치와 도발행동을 통해 긴장을 조성함으로써 후계세 습 구축과 경제난으로 인한 내부 불안요인을 차단시키는 동시에, 우리 정부의 대북정 책을 전환시키고 남남갈등을 유도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08년 10월부터 북한은 민간단체의 전단살포를 빌미로 우리 정부를 위협하였으며, 12월 1일부터는 군사분계선 육로통행 제한, 경제협력협의사무소 폐쇄, 개성관광 중단, 남북화물열차 운행 중단, 개성공단과 금강산지구의 상주 체류인원을 절반으로 감축하는 등의 조치 를 취했다. 2009년 들어서도 북한은‘전면대결태세 진입’,‘남북 간 정치 ・군사 합의 무효화’ 등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면서, 3월에는 한미연합군사연습을 빌미로 군 통신선을 차단하고 개성공단 육로통행을 3회(3. 9, 13~15, 20)에 걸쳐 차단했다. 또한 북한 체제를 비난했다는 이유 등을 내세워 개성공단의 우리 근로자를 접견조차 허용하지 않은 채 136일 동안(3. 30~8. 13) 강제로 억류함으로써 국민들의 우려를 자아내게 했다. 이러한 군사적 긴장고조와 강경조치의 연장선상에서 북한은 급기야 2009년 4월 5 일 함경북도 무수단리에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5월 25일에는 2차 핵실험을 감 행하기에 이르렀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일방적인 강경조치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의연하게 대처했다. 또한 핵실험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와의 공조 아래 대북제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 결과 북한은 2009년 하반기부터 이전과는 다른 대남 유화적 태도를 보이기 시작 했다. 개성공단 억류 근로자를 우리 측으로 인도하고, 군사분계선 육로통행 및 체류 제한 조치를 해제했다. 또한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國葬)의 특사조의단 파견을 비롯 하여 적십자 실무회담, 이산가족 상봉행사 등 우리 정부와의 대화와 협력에 부분적으 로 호응해 나왔다. 제 2 장 사 건 발 생 과 초 기 대 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