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page

제 1 장 머 리 말 정부는 사건 원인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과학적 증거와 국제 공조를 통해 진실을 규명한다는 원칙을 정하고 민・군 합동조사단을 편성하여 사건조사에 착수했 다. 해군은 4월 26일부터 민・군 합동조사단의 요청에 따라 천안함의 침몰원인을 규 명하기 위한 함체 잔해물 탐색 및 인양작전을 실시했다. 5월 15일에는 쌍끌이 저인망 어선을 이용한 잔해물 수거작업을 통해 알루미늄 조각, 가스터빈 외에 결정적인 증거 물인 어뢰 추진동력장치를 수거했다.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은 2010년 3월 30일부터 5월 20일까지 과학 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천안함이“북한제 어뢰에 의한 외부 수중폭발의 결과로 침몰되 었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북한군의 잠수함 능력과 폭발지역에서 수거한 물품 등이 북 한제 어뢰와 합치된다는‘다국적 연합정보분석팀’의 정보분석과도 일치된 결과였다. 9 월 10일 국방부는 이런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한‘천안함 피격사건 합동조사결과보 고서’를 발간했다. 천안함 피격사건 직후 이명박 대통령은 즉각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소집하여 정확 한 실태 파악과 대응책을 마련하고 사태 수습에 나섰다. 5월 20일 합동조사단의 조 사 결과가 나오자 이 대통령은 5월 24일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천안함 침몰은 대한민국을 공격한 북한의 군사도발”이며, “북한의 책임을 묻기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이와 동시에 정부는 외교・통일・국방부장관 합동기자회견 을 통해 남북교류협력 중단을 골자로 하는 대북조치를 발표했다. 이어 국가안보총괄점검기구를 구성하여 포괄적인 안보위협에 대처하는 국가안보 태세를 점검하는 한편, 대통령 직속으로 안보특별보좌관을 신설하고 위기상황센터를 국가위기관리센터로 개편함으로써 그 기능을 강화하였다. 또한 시한부 즉각대응태세 를 확립하고 현존하는 적의 위협능력에 대한 군사대비능력을 제고시켰다. 이후 정부는 G8 정상회담 등 30여 차례의 정상외교를 비롯한 미・일・중・러 주변 4개국 외교를 통하여 국제협력을 강화하면서 6월 4일‘천안함 사태’의 해결을 UN안 전보장이사회에 회부했다. 그 결과 UN안보리에서는 2010년 7월 9일‘천안함 침몰을 초래한 공격행위를 규탄(condemn)’하고,‘천안함 침몰에 대하여 깊은 우려’와 동시 에‘사건 책임자에 대한 적절하면서도 평화적인 조치를 촉구’하는 의장성명을 채택 하였다. 한편 정부는 천안함 피격사건의 희생자에 대해서는 예우를 갖추어‘천안함46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