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page

예보체계를 이용해 분석·검증했다. TOD 영상분석은 사건 전·후로 구분해 정밀분 석 했다. 북한의 유형별 도발 가능성 분석은 침투자산 및 무장별로 구분했다. 기술정 보 분석은 천안함의 침몰원인 규명을 위한 증거물 채택활동을 통해 과학수사분과를 지원했다. 다. 조사 활동 및 발표 1) 함체인양 전 조사활동 (3. 31 ~ 4. 14) 합동조사단은 함체 인양 전 분과별 조사활동으로 천안함의 작전경과 및 사건 발생 후 조치과정을 정밀분석하는 한편, 침몰요인을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구분 해 조사·분석했다. 그 중 내부적 침몰요인으로는 탄약고·연료탱크·엔진결함 등에 의한 내부폭발 요 인과 함체 피로파괴 요인을 조사·분석했다. 외부적 침몰요인은 기뢰와 어뢰 폭발에 의한 요인과 함께 삼각파도 또는 암초에 의한 좌초, 외부물체와 충돌 등의 요인을 조 사·분석했다. 한편 함체 인양 전까지 수집된 생존자의 피복류(근무복 등 9점)를 감정하면서 해상 및 백령도 해안에서 수집된 수거물 등을 대상으로 화재흔적을 조사했다. 2) 함미 인양 후 조사활동 (4. 15 ~ 4. 23) 합동조사단은 함미 인양 전 현장조사팀을 57명으로 편성해 4월 14일 현장의 독도 함에 전개했다. 이어 4월 15일 함미가 인양됨에 따라 다음날인 16일 함미 인양에 따 른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어 인양된 함체에 대한 정밀감식으로 29종 147점의 증거물을 채택했다. 또한 3 차원 레이저 스캐닝으로 함미의 절단면을 감식했으며, 현장에서 채택된 절단부위 내 장재 등 10점에 대해 화약류 및 알루미늄 성분 검출여부를 감정했다. 이때 국방기술 품질원에서는 함미의 손상부위를 정밀 측정해 손상위치를 계측하고 변형상태를 조사 했다. 천 안 함 피 격 사 건 백 서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