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page

했다. 이어 함체가 절단된 후 함수·함미에 대한 각각의 복원성을 분석했다. 함정관리 분야는 천안함의 정비내역과 함체의 손상상태를 근거로 분석했다. 그 과 정을 통해 함체 노후화로 인한 피로파괴(fatigue fracture) 70) , 좌초(坐礁), 충돌 등 비 폭발 원인에 의한 침몰 가능성을 분석했다. 3) 폭발유형분석분과 폭발유형분석분과는 합참, 국방과학연구소, 민간전문가 등 국내전문가 12명과 외 국전문가 2명 등 총 14명으로 편성되었다. 세부분야는 어뢰, 기뢰, 유체분석, 기타 폭 발물 등 4개 분야로 구분해 활동했다. 침몰 원인분석을 위해 함체 인양 전에는 탄약고 또는 연료탱크 폭발, 디젤엔진 및 가스터빈 등의 내부폭발 가능성을 정밀분석했다. 함체 인양 후에는 순항미사일 및 탄 도미사일에 의한 수면 또는 수상폭발 가능성, 어뢰 또는 기뢰, 육상조종기뢰에 의한 수중폭발 가능성 및 기타 급조폭발물에 의한 침몰 가능성 등을 분석했다. 아울러 현 장 확인·조사를 병행해 침몰원인을 분석했다. 그 과정을 통해 사용가능 무기체계를 어뢰와 기뢰로 압축했으며, 인양된 함체의 절 단면과 흡착물질 분석, 함체절단 시뮬레이션 등의 과학적 조사를 통해 비접촉 수중폭 발에 의해 천안함이 침몰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4) 정보분석분과 정보분석분과는 정보본부, 국립해양조사원과 한국해양연구원의 국내연구자 등 4 명(민2, 군2)의 조사요원과 12명의 지원요원으로 편성되었다. 세부분야는 해양환경 분석, 북한 도발형태 분석, 기술정보 분석, TOD 영상분석 등 4개 분야로 구분해 활 동했다. 침몰원인 분석을 위해 정보분석분과는 먼저 백령도 근해의 해저장애물(암초) 및 조 류의 특성을 분석했다. 해저지형을 순차적으로 검증했으며, 조류는 군의 작전용 조류 제 3 장 사 후 조 치 및 원 인 규 명 70) 피로파괴(fatigue fracture) : 어떤 물체에 반복해서 힘을 가하는 동안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균열이 발생해 절단되거 나 또는 절단까지 이를 수 있는 파손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내구연한의 초과 또는 노후화에 의한 파손은 전형적 인 피로파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