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page

특 집 군사연구 제129집 127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보았다. 반면에 연변에서는 민족운동사적 관점에서 각종 학교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민중을 계급적으로 각성시키지 못했다는 한 계가 있음을 지적하는 동시에, 이후 한인 사립학교들이 사회주의사상을 전파하 는 기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한인 사회주의운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보 았다. 재만 한인 교육에 관한 연구는 2007년에 서전서숙 설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상동청년회와 서전서숙의 관계, 만주지역 항일독립투쟁과 우리나라 근대교육사에서 서전서숙의 위상 및 서전서숙 설립 전후 이상설의 민족운동 등에 대한 집중적인 검토가 이루어졌다. 39) 또한 2008년에는 명동학교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 대회에서 「북간도 한인사회와 명동학교」, 「김약연의 생애와 민족운동」, 「중국조선족 민족과정과 간민회」, 「항일독립운동사상에서의 명동학교」, 「북간도 간민회의 조직과 활동 및 성격」, 「일제하 북간도지역 민족운동과 기독교」, 「청조의 북간도 개척정 책과 한인」, 「북간도지역의 독립운동가요」, 「규암 김약연과 명동촌」등의 논문이 발표되어 명동촌과 명동학교를 중심으로 한 북간도지역 한인사회에 대한 구체적 인 모습을 체계화하였다. 40) 뿐만 아니라, 명동촌과 명동학교를 설립하고 간도지 역의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김약연에 대한 ‘열전’이 출간되었으며, 41) 명동촌과 명 동학교와 관련된 250여점의 사진을 간추린 사진집을 출간하기도 하였다. 42) 이밖 에 명동촌 및 명동학교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간도노회 목사로 활동했던 문 재린목사 부부의 회고록도 출간되어 명동촌을 중심으로 한 간도지역 한인사회의 민족운동과 기독교회의 활동을 새로게 보강할 수 있는 자료가 소개되기도 하 였다. 43) 교육운동이나 각 학교들의 상황에 대한 개별 논문도 발표되었다. 명동학교의 민족주의교육과 항일운동의 전반적인 특징에 대해 정리한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39) 윤병석 외, 한국독립운동과 서전서숙 , 사단법인보재이상설기념사업회, 2007. 특히 서전서숙 의 개숙과 관련해서는 러일전쟁과 을사늑약을 전후하여 활발하게 민족운동의 방략을 기획 추진하던 상동교회의 상동청년회와 상동청년학원 즉 ‘상동파’에 의해 설립되고 운영되었으며, 이동녕, 정순만, 이회영 등이 후원세력이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40) 윤병석 외, 북간도지역 한인민족운동 ,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41) 서대숙, 간도 민족독립운동의 지도자 김약연 , 역사공간, 2008. 42) 김재홍, 북간도에 세운 이상향 명동 , 국립민속박물관, 2008. 43) 문재린ㆍ김신묵 지음, 살아오는 북간도 독립운동과 기독교 운동사 기린갑이와 고만녜의 꿈(문재린ㆍ김신묵 회고록) , 삼인, 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