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page

.. 3 전 쟁 사 군사연구 제127집 101 유도로 철수하는 1,900대 이상의 이라크군 차량을 파괴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하였다. 2월 27일에는 드디어 쿠웨이트 영토를 회복하였고, 미 부시 대통령이 걸프 현지시각 2월 28일 08:00에 공격중지 명령을 내렸을 때 미군과 다국적군은 43 개의 이라크군 사단을 거의 궤멸시키거나 무력화시킨 상태였다. 결국, 이라크 후 세인은 유엔의 12개 결의안 및 휴전조건 5개항14)을 수용하면서, 1991년 3월 3일 휴전회담 결과 “군사분계선 설치(폭 2km의 완충지대 설치), 분계선 20km 이내 비행금지” 등이 결의되어 실행에 옮길 수밖에 없는 비운을 겪게 되었다. 다. 미국의 군사혁신 1) 군 모병제 정착 및 전쟁지속능력 확보 미국은 70년대 초 베트남전쟁을 전후하여 군내 침체된 분위기는 징병거부 현상으로 이어져 미 육군 병사들의 자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최우수 장교와 부사관들에게 모병업무를 맡기고 직접 훈련시키는 방안을 채택하여 병사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의회 를 통해 전역 군인들에게 대학 장학금을 제공하는 새로운 제대군인 원호법 뿐만 아니라, 병사들에 대한 임금 인상을 통한 동기유발로 육군내 복지개선과 긍정적 인 육군상 홍보에 힘입어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자질이 우수한 병사들이 지 원함에 따라 모병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나갈 수 있었다. 한편, 미국 행정부와 의회는 본토의 방위력을 유지하면서도 대외전쟁을 수행하 기 위해서는 많은 육군병력이 필요했지만 예산문제 등의 이유로 병력을 부족하게 보유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유사시 부족한 병력을 보충하기 위해 미 육군은 70년대 중반부터 상비군과 주방위군(National Guard), 그리고 예비군(Army Reserve)을 합한 총병력의 일정 수준은 유지하면서도, 그 안에서의 구성 비율은 상황에 따라 융통성을 부여하는 이른바 “총병력 운용정책(Total Force Policy)”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상비군은 전투지원 및 전투근무지원 체제를 대폭 강화하였 고, 유사시 예비군들은 최소한 30일간의 동원훈련만 마친 후 원소속 사단에 합류 14) 노병천 저,「도해세계전사」(연경문화사, 2001), 648쪽, 휴전조건 5개 항에는 “모든 안보리 결의안(12개) 수락, 쿠웨이트 합병 무효화 및 피해보상 약속, 다국적군의 포로와 유해 및 쿠웨이트인을 포함한 외국인 즉시 석방, 기뢰 및 지뢰 등 모든 폭발물 위치와 특성 등 통보, 쌍방 군사령관의 48시간 이내 휴전논의”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