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page

.. 1 특 집 군사연구 제127집 39 Ⅴ. 결 론 지금까지 『현리-한계전투』발간에 따른 그 의의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이미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현리-한계전투’의 내용은 전쟁사, 전투 사 연구에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단지 ‘현리-한계전투’가 산악지형에서 이루어진 전술적인 차원의 공방전이었지만, 전투의 승패여부가 때로는 작전적 흐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던 전례31)라는 것이다. 군사연구소에서는 책의 발간에 즈음하여 『현리-한계전투』발간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여 6․25전쟁 전투사 연구의 의의를 제고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이러 한 세미나를 통해 다양한 계층의 관계자들이 다수 참석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연 구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전사 연구의 붐이 조성되고 공감대 형성에 크 게 기여했다. 이렇게 볼 때 금번 연구 산물 『현리-한계전투』는 군과 학계가 한 목소리로 6․25전쟁 연구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촉매제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판단된다. 즉 이 책자의 발간은 ‘한국적 전쟁수행 방식’ 연구를 위한 뿌리를 제공하고 전사 연 구의 학문적․군사적 의의를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손자는 그의 병법(兵法) 제1편 시계(始計) 첫 구절에서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 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라 하여 전쟁을 국가의 존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쟁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는 것은 전쟁 못지않게 중요하다 하겠다. 미국의 먀살 장군은 “전쟁사 연구는 모든 군인들이 수행해야 할 필수적인 과업이며 이를 성실하게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조국과 부하 에 대한 신성한 의무를 다하는 것이다”라고 하면서 전쟁사 연구는 군인의 본분임 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육군의 역사 및 전쟁사를 연구․편찬하는 군사연구소장으로서 이번 『현리-한계전투』의 발간을 계기로 소홀해져가는 간부들의 전사연구 분위기를 일대 쇄신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봄과 동시에 전쟁사 탐독 및 학습을 통해 ‘강한군대 강한전사’ 육성의 기반이 조성된다는 것을 강조하 고 싶다. 31) 최용호, “한국전쟁의 작전술 사례 연구”, 『군사평론』제352호 부록, (대전: 육군대학, 1999), p.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