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page

.. 현리-한계전투 발간의 의의 34 군사연구 제127집 있던 미 제3사단을 미 제8군으로 배속 전환하여 군 예비로 운용할 수 있도록 조 정하였다. 이는 중공군이 돌파구를 형성하여 진격해오는 동안 스스로 작전한계점 에 도달하게 한 뒤 전투력을 보존한 미군으로 하여금 반격을 가하게 하려는 의도 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2) 중공군의 공격개시와 한국군 제7사단의 퇴각 한국군 제7사단이 중공군의 공격개시와 동시에 일거에 무너진 원인에 대해 서는 지금까지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었다. 또한 중공군이 공격준비사격 및 공격 개시 시간에 대한 기술이 연구물 및 문헌마다 조금씩 달랐다. 이번 연구에서 찾아낸 사실은 중공군의 공격준비사격 시간과 공격개시시간을 중공측의 자료를 참조하여 명확히 제시했으며, 중공군이 한국군 제7사단 전방에 모든 화력을 일거에 집중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동시에 중공군이 6개 사단의 전투력을 한국군 방어 전단 일부에 집중하 여 돌파한 뒤 우회에 의한 종심기동, 차단, 포위로 한국군 제7사단의 지휘통제와 방어체계를 무너뜨렸다는 것을 상세히 기술했다. 3) 중공군의 ‘운동전 전법’과 우회에 의한 종심기동 기존의 전쟁사, 전례가 중공군의 운동전, 돌파, 우회, 차단, 포위, 종심기동 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지만 하나의 전술적 관점에 의해 일관되게 이를 설명하기 보다는 드러난 현상을 하나하나 기술하는데 그치고만 아쉬움이 있었다. 『현리-한계전투』는 중공군이 방어하는 부대의 전방을 강력히 돌파한 후 빠른 속도로 우회하여 종심기동을 하면서 각 부대가 돌파와 차단을 결합한 포위 소멸 에 참가함으로써 다중 포위에 의한 방어부대의 격멸을 기도하는 ‘운동전 전법’이 라는 중공군 특유의 전술로 묶어 전투경과를 일관되게 설명했다. 4) 중공군의 공격과 한국군의 퇴각, 철수를 입체적으로 설명 『현리-한계전투』는 수많은 부대가 참가한 ‘현리-한계전투’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전훈을 염출할 수 있도록, 시간대별로 기술하 거나 부대별로 기술하는 기존의 방식을 버리고 일정 지역에서의 전투행위나 교전상황을 중심으로 피ㆍ아 쌍방의 공방을 입체적으로 그려내는 데 주안을 두고 작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