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page

.. 현리-한계전투 발간의 의의 32 군사연구 제127집 다. 1차 사료분석을 통한 사실 재구성 현리-한계전투에 관한 기록은 공산군과 유엔군의 규모, 일진일퇴의 복잡다단 함, 중공군의 종심기동 속도의 민첩성, 한국군의 퇴각에 대한 부정적 시각 등으로 인해 연구물이나 문헌마다 중요한 전투의 내용(시간, 장소, 부대, 주요사건 등)이 각기 상이했다. 이에 『현리-한계전투』는 다음과 같은 미국, 중국 측의 공식문서 를 전투사 작성의 기본 자료로 하여 전투사 작성시 갖춰야 하는 전투사례의 신 뢰도와 정확성을 높이는데 노력하여 관련사실의 재구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 고 있다. 【표 2】 연구에 사용된 1차 사료 목록 구 분 세 부 내 용 미군 자료 Eight U.S. Army Korea Headquarters, Command Report(1951.5) Headquarters Ⅹ Corps, Command Report(1951.5) Headquarters Ⅹ Corps, Battle of the Soyang-Rive(1951) Ⅹ Corps G-2 Section, Enemy-Tactics(1951.6) 중공군 자료 抗美願朝戰爭經驗的總結 : 一, 戰爭簡史』(1956.10) 『抗美願朝戰爭經驗的總結 : 二, 戰術經驗總結』(1956.10) 『抗美願朝戰爭經驗的總結 : 三(下), 步兵團, 營, 連, 排戰例選輯』(1956.10) 『抗美願朝戰爭經驗的總結 : 四, 對敵軍硏究』(1956.10) 『中國人民支援軍 : 第十二軍戰史』(1955.12) 『中國人民支援軍 : 第二十軍戰史』(1965.5) 『中國人民支援軍 : 第二十七軍戰史』(1955.12) 『中國人民支援軍 : 第六十軍戰史』(1958.7) 抗美援朝全爭史畵券(2005) 한국군 자료 보병제5사단 부대역사(1979) 제9사단 부대사(1982) 제7사단 부대사(1999) 보병제3사단 백골사단역사(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