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page

.. 1 특 집 군사연구 제127집 31 2. 연구 성과 가. 전투사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 정립 6․25전쟁 기간은 치열한 전투의 연속이었다. 역사에 남을 성공적 상륙작전 과 공수작전, 공중전이나 전차전 등 다양한 형태의 전투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 보다는 산악지역에서 소부대 단위로 이루어졌던 전투가 많았다. 따라서 6․25전 쟁은 전략․작전술적 차원 보다는 전술적 측면의 공격․방어에 있어서 많은 전훈 을 얻을 수 있는 전투사례의 보고라 할 수 있다. 당시 전쟁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했던 중공군의 편제와 규모, 전투가 벌어진 장소와 시간은 이를 연구하고 집필한 연구자마다 상이하였다. 관련 사실을 실제 와 가장 유사하게 재구성하여 육군이 표준으로 삼을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을 제시 하고자 하는 것이 현리-한계전투 연구의 출발점이며 『현리-한계전투』를 발간한 배경이기도 하다. 나. 현대의 군사교리를 적용한 전투사 분석 대부분의 역사가 그렇듯이 전쟁사, 전투사 역시 그 시대에 맞는 관점에 따라 다시 써야 지난날을 되돌아보고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역할27)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6․25전쟁사, 전투사례, 전례연구 등 6․25전쟁과 관련된 연구들은 6․25전쟁이 끝남과 동시에 바로 나오기 시작했지만 6․25전쟁의 연구가 지금 현 재 우리 군의 전투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면 현재의 관점에서 다시 분 석하고 재평가하는 새로운 작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현리-한계전투』는 『지상군 기본교리』, 『작전술』,『전술』,『보병사단』, 『보병연대』, 『소부대 전투기술』등과 같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군 교범은 물론 중공군의 전략과 전술에 관한 다양한 연구서, 북한군 교범을 통해 당시의 전투상황을 현재의 시각과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고 평가했다. 27) 이 내용은 역사가 가지는 의미이며 그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역사학자 콜링 우드(R.G. Collingwood)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상호 대화하는 것이라는 표현으 로 역사의 오늘날 역할을 간곡히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