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page

5 군사사및기타 군사연구 제127집 255 군사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8)을 고려할 때 우리 군도 하루빨리 군 내부의 전쟁사 연구체계를 정립한 다음, 국내 일반학계는 물론 국외 관련기관 과의 활발한 교류협력을 실시할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점이다. 위에 제기된 문제점에 추가하여 우리 군이 IT세대인 젊은 군간부들의 성향과 최근 들어 급속적으로 발전한 디지털 환경의 강점을 전쟁사 연구 및 활용에 적극 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개선해야 할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는데 이 점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진행되고 있는 최근의 디지털 정보혁명은 인간의 두뇌 즉 눈, 귀, 코, 입을 포함한 두뇌부분의 여러 움직임을 대신할 수 있는 기술 의 혁신적 발전을 달성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과거 석유자원의 발견이 산업사회 에서 석유소비를 증가시켰듯이 정보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정보소비 사회로 나아 가는 것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또한 반도체 기술개발에 의해 촉진되고 있는 디지 털 정보화 사회는 대량의 정보를 자유롭게 주고받는 기회를 인류에게 제공함으로 써 정보의 송ㆍ수신이 한정된 인원들에게 독점되지 않고 사회의 대다수 구성원들 에게 널리 제공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보획득 기회가 균등하고 자유로운 경쟁이 가능한 효과적이고 공정한 사회의 실현을 가능케 하고 있다. 그 결과 정 보유통의 혁신은 우리 인간의 생활패턴과 사고방식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전장 환 경에도 혁신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 한편, 이러한 첨단화된 전장 환경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군도 정보화 및 과 학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교육훈련 분야에서의 구체적인 조치의 일환으 로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교육훈련의 일대 혁신을 꾀하기 위해 교육 보조재료 및 교육환경 개선에 커다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ㆍ과학화 시대에 발맞추 어 교육인력과 예산을 절감하고, 장병이 원하는 시간ㆍ장소에서 평생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원격교육체계(e-Learning)를 구축하고 있으며 2007년에 960개의 학교교실을 디지털화하였고 교과목형 CBT9)를 개발하여 교육 에 활용하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교재10)를 제작하여 야전 및 학교기관에 8) 조성훈, 상게서, pp.57~59. 9) 컴퓨터기법 훈련으로 첨단교육매체를 이용하여 교과내용, 전술훈련 프로그램, 장비의 특성 및 기능 등을 컴퓨터 및 보조장비에 내장시켜 사용자가 개별적, 집단적으로 교육훈련을 진행하는 과학화된 교육기법 10) 육군 군사연구소 세계전쟁연구과에서 제작한『세계전쟁사 디지털북』형태로 이는 분야 및 과목별로 제작한 것을 육군이 통합하여 야전 및 학교기관에 적극적으로 보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