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page

전쟁사 연구실태 및 발전방안 254 군사연구 제127집 못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면에서 고찰해 볼 때 2006. 4. 1을 기해 육군 군사연구소 내에 세계전쟁연 구과가 창설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며 이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는 예상되 는 미래전이 지상군 중심이 아닌 해ㆍ공군과 정밀유도무기 위주의 합동성이 중시 되는 첨단 정보과학전이 될 것임을 고려할 때 전군을 망라하는 국방부 차원에서 의 세계전쟁연구부서가 창설되고, 이와 같은 분위기가 일반 학계로까지 확대 되 도록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연구 전문 인력의 부족과 연구전문기관 또는 부서의 부재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 세계전쟁사 연구를 위한 자료 역시 극히 제한되고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가깝게 2006년 말을 중심으로 육군군사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군역사 및 전쟁 사 관련 자료를 추적해본 결과 총 9만여 건의 각종 자료(단행본, 전투상보, 증언 록, 기타자료) 중 거의 대부분이 군역사 관련 자료였고 나머지도 한국전쟁 관련 자 료가 총 2,000여 건에 달하는데 비해 세계전쟁관련 자료는 불과 500여 건에 불 과5)하고 그것도 국내외에서 발간된 단행본이 주를 이루고 있어 세계전쟁사 관련 연구기반체계가 얼마나 미약한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따라서 보다 체 계적이고 효율적인 세계전쟁사 연구를 위해서는 전문 인력과 연구기관, 연구자료 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야별 역량을 대폭 확충하는 등의 연구기반 체계 구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세 번째 문제점은 국방부 및 육군차원의 세계전쟁사 연구부서 및 관련참모기능이 부재함에 따라 군내ㆍ외의 세계전쟁연구 관련 업무에 대한 조직적이고 효율적인 기 획, 조정 통제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그 결과 수요자의 필요에 부합 되는 전쟁사 관련 연구 산물의 생산 실적이 미흡하고 연구기관별 역할 및 기능 분 담과 상호교류를 통한 정보교류 등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6) 네 번째는 아직 군사학이 하나의 학문체계로 정립되지 못했지만 일반학계에서 도 비교적 활발하게 전쟁사에 대한 연구가 진행7)되고 있고 특히 외국의 경우 700~1,000여 명의 전문 연구 인력으로 구성된 국책 연구기관에서 매우 활발하게 5) 육군본부,『전사자료 목록집』, (대전 : 군사연구실, 1997), pp.235~238. 6) 정명복, “육군 군사연구소의 개편과 전사연구 발전방향”,『군사연구 122집』, 2006, pp.49~51. 7) 류한수, “클레이오와 아테나의 만남: 영미권의 군사사 연구 동향과 국내 서양사학계의 군사사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언”,『동북아의 평화와 역사서술』, 제50회 전국역사학대회 학술지, 역사학회, 2007, pp.26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