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page

.. 현리-한계전투 발간의 의의 24 군사연구 제127집 다. 제3장 전투경과 제3장은 총 5개 절로 구성하였다. 제1절 중동부 전선에 감도는 전운에서는 1951년 4월 29일 중공군의 제5차 제1단계 공세가 중지되자 미 제8군사령관 벤 플 리트는 중공군이 공세 종말점에 도달했다고 판단하고 5월 7일 반격을 개시한 것 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동부 전선의 한국군 6개 사단이 미주리선으로 진격하는 동안 중공군이 집결하는 등 공세의 징후가 감지되었던 사실 등을 8군 자료16)를 인용해서 분석하였다. 제2절 중동부 전선을 집중 돌파한 중공군에서는 한국군 제7사단의 상황과 제5 사단의 상황에 대해서 중공군자료와 제7사단과 제5사단의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 하였다. 우선 제7사단 지역의 상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월 16일 16:30부터 중공군 은 소양강 남안 한국군 제7사단의 방어진지일대에 1시간에 걸쳐 강력한 공격준비 사격을 실시했다. 공격준비 사격에 이어서 17:30부터 중공군의 공격이 시작되었 다.17) 중공군의 공격준비사격으로 인해 지휘통제 능력을 상실한 제7사단은 너무 나도 쉽게 무너졌다. 중공군은 공격을 개시한 지 2시간 반 만인 5월 16일 20:00경 이미 방어선을 돌파했다.18) 이렇게 제7사단이 초기에 대량 피해를 입은 것에 대 해 피․아19)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① 중공군 공격준비 사격의 정확함, ② 중공군 공격준비사격의 치열함, ③ 방어준비 부족 등이다. 중공군 제20군의 강력한 돌파로 제7사단 제8연대의 예하 부대들은 중대 단위로 각개 격파되어 갔다. 그러나 지휘통제체제가 마비된 제7사단 사령부는 5월 16일 22:00 이전까지 전방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다. 사태가 심상치 않음을 파악한 미 제10군단장은 5월 17일 01:00경 제7사단장과 제5사단장에게 현 방어진지에서 철 수하여 노네임선 일대로 방어선을 조정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이 시각 제7사단 과 제5사단은 이미 조직적으로 철수할 수 있는 지휘통제 능력을 상실하고 소부대 단위로 퇴각하는 중이었다. 16) Eight United States Army Korea Headquarters, Command Report, Section1 : Narrative(1951), p.9. 17) 中國人民志願軍第十二軍編, 『中國人民志願軍 : 第十二軍戰史』(1965), 中國人民志願軍第 二十七軍編, 『中國人民志願軍 : 第二十七軍戰史』(1955) 18) 제9사단, 『부대사』(1982), p.115. 19) 中國人民志願軍抗美援朝戰爭經驗總結編寫委員會, 『抗美援朝戰爭經驗總結 : 二, 戰術經驗 總結』(1956), pp.9~11, 제7사단, 『부대사』(1999), pp.15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