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page

.. 1 특 집 군사연구 제127집 23 <그림 1> 중공군의 공세계획 및 연합군 작전계획 서부 또는 중부 축선에 지향될 것으로 판단했다.13) 그러나 5월 3일부터 14일 어 간에 수집된 각종 첩보자료에 의하면 중공군의 주력이 미 제10군단 정면, 즉 중 동부 전선에 집중될 것이라는 징후들이 나타났다.14) 이에 유엔군은 작전계획이나 전선을 조정하기에는 너무 시간이 촉박했기 때문에 기존의 방어계획은 그대로 두 고 미 제1군단의 예비로 있던 미 제3사단을 미 제8군으로 배속 전환하여 군 예비 로 운용할 수 있도록 조정하였다. 이렇게 한 이유는 중공군이 돌파구를 형성하여 진격해오는 동안 스스로 작전한계점에 도달하게 한 뒤 전투력을 보존한 미군으로 하여금 반격을 가하게 하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15) 또한 전장환경 평가는 상황평가 중 당시의 작전여건을 고려하는데 중요한 사항 으로 인식되고 있다. 당시 책임지역 내 주요고지는 울창한 삼림지대로서 도로망 이 발달되지 않아 병력과 장비 모두 기동하기가 쉽지 않았다. 게다가 1951년 5월 5일부터 25일까지 인제, 현리, 창촌, 하진부리 지방의 기상은 전반적으로 흐리고 가끔 비가 내리는 가운데 아침에는 짙은 안개가 끼는 날이 많았다. 그리고 서북 풍이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5℃ 미만이었다. 이러한 기상조건은 전투원들이 저 체온증으로 많이 사망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3) Eight United States Army Korea Headquarters, Command Report, Section1 : Narrative(1951), p.7. 14) X Corps G-2 Section, Enemy-Tactics : Battle of Soyang River(1951), p.2. 15) Thomas S. Grodecki, From Powder River to Soyang : The 300th Armored Field Artillery in Korea(1989), p.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