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5page

제1차 세계대전과 미주한인사회 228 군사연구 제127집 필연의 사실로 예견하였다.4) 독립전쟁론은 우선 실천방법으로서 국외에 독립군기지를 설치하는 일이었다. 이 독립군기지 설치를 주도한 사람들은 한말 애국계몽운동을 추진한 민족주의자 들이었고 혹은 그 영향을 받은 계층이었다. 독립운동기지란 한민족이 많이 이주 해 살고 언제든지 국내진입이 가능한 서북간도의 시베리아 지방 여러 곳에 한민 족의 집단적 거주지역을 만들어 항일운동의 세력근거지로 삼고 그곳을 중심으로 일제와의 독립전쟁을 준비한다는 것이었다. 그곳에서 산업을 일으켜 경제적 토대 를 마련하고 국내외에서 청소년을 모아 무관학교 등을 세워 근대적 교육과 군사 교육을 실시하여 민족의 군대인 독립군과 민족운동의 전위군을 양성한다는 것이 당면 목표였다. 한편 그 기지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국내동포의 민족의식을 일깨 우면서 국내외에 산재한 한민족의 항일세력을 조직화ㆍ무장화시켜 독립전쟁을 준 비하여 가는 것이 방향이라 할 수 있다.5) 이러한 독립전쟁론이 처음 제기된 것은 1907년 안창호가 미국에서 한국으로 귀 국하여 양기탁, 전덕기, 이동휘 등과 함께 신민회를 창설한 이후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6) 신민회의 결성을 계기로 대두된 독립전쟁론은 이후 보다 구체화되 어 1910년 이후에는 부분적이지만 결실을 볼 수 있었고 이후 일제의 강점이 끝날 때까지 독립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7) 대한제국 말기 민족운동가들이 군대해산 이후 의병전쟁이 일어나자 이를 지지 한 것은 이를 독립전쟁의 적기로 파악하였기 때문이다. 그 배경으로는 당시 세계 정세에 대한 정보도 크게 작용하였다. 앞서 말한 열강과의 전쟁 중에서도 특히 미일전쟁설은 끊임없이 나돌아 여론을 집중시키고 있었다. 일본은 러일전쟁의 결 4) 윤병석,「1910년대의 한국독립운동 시론」,『사학연구』 27, 1977, pp.69~71. 5) 위와 같음. 6) 당시 국내 대부분의 계몽운동을 지지하던 민족운동단체들이 의병운동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과는 달리 신민회의 경우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 해산하고 해산당한 군인의 일부가 봉기하여 의병전쟁에 가담하자 기관기였던 대한매일신보를 통하여 이를 지지하였다. 이후 신민회는 일제의 탄압으로 의병운동이 퇴조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09년 이후 국외독립군 기지 창건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신용하,「신민회의 독립군기지 창설운동」,『한 국근대민족운동사연구』, 일조각, 1988, pp.138~142, 148~151. 7) 독립전쟁론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후 작성된 시정방침 중 ‘四. 日美戰爭促進及 軍 事援助要求’에서는 ‘美國에 派遣할 外交員으로 하여금 美國과 交涉시켜 美日戰爭을 促進하 고 我民國에 對하여 軍資 軍機及 軍需品의 貸與를 要求함’이라고 명시함으로써 미국과 일 본과의 전쟁을 적극적으로 후원하려고 하였다. 국사편찬위원회,「임시정부시정방침」,『한 국독립운동사 자료 2(임정편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