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page

4 군사관리 군사연구 제127집 167 병, 구름, 꽃무늬 등이 번갈아 가면서 양각되어 있다. 이외에 하단을 둘러싼 4개 의 근철을 마무리하는 대선(帶線) 역시 전면에는 봉황과 학이 두 마리씩, 후면에 는 용의 모습이 있고 여의두문이 앞뒤로 4개씩 즉 근철마다 2개씩 솟아 있는데 여의두문 안에는 매화를 한 송이씩 배치하였다. 발에는 전후로 용과 봉황이 장식되어 있다. 그 전면의 좌우로는 꼬리를 하늘로 뻗친 발톱세개 달린 용이 후면의 좌우로는 봉황이 대칭으로 나타나고 여의주를 향하면서 주위에는 구름이 장식되어 있다. 전비는 있던 흔적만을 보이고 있고, 미비는 산 모양으로 정 가운데에는 원선내 에 ‘원수’라 새겨져 있어 계급을 표시하고 있다. 그 주위로는 가운데의 여의주를 향해 화염에 휩싸인 용이 좌우에서 생동감 있게 표현되고 있다. 목가리개 역시 그 흔적만 보일 뿐 남아있지 않다. * 갑 옷 형태는 깊게 파인 U자형 깃에 직배래이며 뒤가 트인 합임식의 포형이다. 겉감은 홍색단이나 옷감의 털도 빠지고 군데군데 해진 부분이 많다. 안감은 도톰한 푸른색 명주이다. 심지는 발이 굵은 흰색 무명 두겹을 누볐고 앞ㆍ뒷길은 거단 (裾段)에서 약 67㎝ 이르는 곳까지 소매는 진동까지 4.5×6.5㎝의 무쇠 철편을 겉 에서 횡선으로 나타나는 놋쇠로 만든 두정으로 이곳 심지에서 마무리해 덧대었다. 이들 겉에서 횡선으로 나타나는 두 종류의 두정은 작은 것은 횡선으로 하복부 에 이르기까지 고루 박았으나 큰 것은 횡선 사이마다에 드문드문 박았고 하복부 이하의 부분은 작은 두정을 이용해 장식을 목적으로 박은 듯하다. <그림 12> 두정투구 <그림 13> 두정갑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