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page

.. 베트남전쟁에서의 게릴라 전 특성 연구 136 군사연구 제127집 에서 교전하기로 결정했다. 그 지역은 디엔비엔푸로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지로 예속시킬 때의 마지막 지역이기도 했다. <그림 1> 베트남 북부지역 그 지역은 라오스로 통하는 주 통로이자, 중국과 연결된 주보급로이기 때문에 나바르 장군은 이곳을 장악하면 적이 공격해 올 것으로 예상했다. 그리고 적이 공격해 오면 월등한 군사력으로 산악지역의 베트남군을 분리시킨 후 각개격파한 다는 계획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그는 1953년 11월 증강된 1개 연대를 공수해 진지를 점령한 후 2개 사단 규모로 보강했다. 이와 같은 프랑스군의 전략은 “자 신들이 작전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없는 게릴라전을 회피하고 정규전으로 유도해 적을 격멸한다.”는 생각이었다.28) 하지만 정보망을 통해서 베트민의 상황을 접하게 된 나바르 장군은 디엔비엔푸를 포기하고 싶어졌다. 그러나 이미 분지의 중심에 참호를 파고 자리를 잡은 상태였기 때문에 철군을 단행한다면 모든 병사와 군수 품을 한꺼번에 잃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그는 3개 사단으로 증강하였다.29) 프랑스군이 디엔비엔푸를 계속 확보하게 된다면 첫째, 베트남군의 근거지인 북부 산악지대와 홍하 삼각주지역이 분리되며, 둘째, 북부 라오스 지역에 대한 베트남 28) 최용호, 베트남전쟁과 게릴라전,『전사』제6호, (군사편찬연구소, 2004), pp.241~242. 29) Michael Maclear, The Ten Thousand Day War. 유경찬 역,『베트남 : 10,000일의 전쟁』, (서울 : 을유문화사, 2002) p.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