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page
82 2025년 9월 순국 Focus 역사의 시선으로 해외박물관 기행 전시는 역사적 배경(일본의 침략적 행동과 미국의 외교적 대응, 전쟁 발발 전의 국제 정세, 일본의 중국 침략과 미국의 군사적 준비 상태 설명) → ‘코드 브레 이킹’(미국 군사정보부가 일본의 군사 코드를 해독 하는 과정과 일본 공격을 사전에 감지하는 역할) → 일본의 항공모함과 미국의 전함에 대한 모델과 설명 등 전시 → 미국의 군사적 준비 상태와 일본의 공격 계획에 대한 정보 → 프랭클린 D.루즈벨트의 편지 (전시관의 마지막 부분에는 루즈벨트 대통령이 일본 천황에게 보낸 편지: 공격 하루 전, 두 나라 간의 평 화 협상을 요청하는 내용)를 전시하고 있다. “진주만공격과 그 이후(Attack and Aftermath)” 전시실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격의 세부 사항과 그 결과를 보여주는 전시실이다. 이 전시실은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기습 공격이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투 기록, 유물, 전함 모 형, 일본 폭격기 모형, 어뢰, 구술 기록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는 ‘공격의 전개’(공격 시간대별 일본 전투 기들의 진주만 공격과 미국군의 대응) → ‘모델과 유 물’(공격 당시 사용된 무기와 장비의 모델, 공격 후 회수된 유물) 전시 → 영상실 → ‘미국의 반응’(공격 이후 미국의 전쟁 선언과 일본계 미국인에 대한 강 제 수용 내용, 진주만공격이 미국 사회에 미친 영향 전시) → ‘생존자 이야기’(그날의 참상 전달) 순이다. 영상실(Pearl Harbor Memorial Theater) 방문자 센터 내부 “진주만공격과 그 이후(Attack and Aftermath)”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약 23분 길 이의 다큐멘터리응 상영하고 있다. 전시 후 관람한 후에 배를 타고 애리조나기념관으로 들어가 희생자 들을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3.‘진주만국립기념관을 다시 바라보게 되는 이유 진주만국립기념관은 단순히 과거의 사건을 기억 하는 것뿐만 아니라,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 시지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은 전쟁의 비 극을 되새기고 평화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진주 만국립기념관과 그 소속의 기념관뿐만 아니라 인근 건축의 주요 개념인 ‘생명의 나무 (Tree of Life)’ “Road to War”전시실 내부(이상 National Park Service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