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page


8page

3.1 만세운동의 시작(역사적 배경) 1910년 일본은 무력으로 조선을 강점한 뒤 군사력을 바탕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분야에서 폭력으로 억압과 수탈을 자행했다. 헌병 경찰제도를 통해 수많은 항일 독립 운동가를 학살하고, 가벼운 죄에도 가혹한 신체적 학대로 인권을 유린했다. 이러한 수탈과 억압으로 민중의 삶은 크게 악화되었으며,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분노와 저항의지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 속에서 민족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고, 마침내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주체적인 여건을 준비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제1차 세게대전의 종전을 전후해 국제정세가 바뀌고, 1918년 1월 미국 윌슨 대통령이 민족자결주의를 주창하여 세게의 식민지 약소국가를 중심으로 민족주의가 고조되기에 이르렀다. 1918년 말부터 천도교와 기독교 민족주의자들, 학생들이 민족자결주의에 고무되어 독립요구를 위한 운동을 계획하였는데, 마침 상하이, 미국, 일본 등지에서 독립운동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을 논의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상하이에서는 여운형과 김규식 등이 신한청년당을 결성하여 활동하였는데, 이들은 윌슨 대통령의 특사로 중국에 온 크레인에게 독립청원서를 전달했다. 이어 1919년 1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평화조약을 협의하기 위한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했고, 여운형 등은 만주와 연해주, 국내와 일본 등 가지의 인물들과 대규모 독립운동의 추진을 준비했다. 마침내 1919년 3월 1일 교통이 발달한 도시에서 시작된 독립만세운동은 수개월 동안 지속되면서 농촌 등지로 전파되고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되었다. 날이 갈수록 참여하는 인원과 계층이 늘어나 국외로까지 확산되면서 만주, 연해주, 도쿄, 오사카, 필라델피아 등에서도 독립시위가 벌어졌다. 일제는 3.1 만세운동을 총칼과 폭력으로 진압하면서 무자비한 학살과 잔학한 고문을 자행했다. 당시 일제의 통계에 따르면 3.1 만세운동 이후 3개월 동안 7,509명이 사망하고, 15,961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46,948명이 옥고를 치렀다. 4.1 횡성군민 만세운동 횡성의 만세운동은 횡성보통학교 4학년 6회 졸업생들이 도화선이 됐다. 이들은 1919년 3월 18일로 예정된 졸업식이 끝나면 곧바로 횡성군청 뒷산으로 올라가 만세를 부르기로 결의하고 읍내 지도층 어른들에게 자문을 구했으나 어른들은 힘을 결집해 후일을 도모하자고 해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이후 몇 차례 비밀회의를 가진 끝에 '무언의 저항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그해 1월 22일 승하한 고종황제를 애도하는 표시로 3월 16일부터 상장(喪章)을 달고 등교하기로 하고 전교생에게 연락해 실행에 옮겼다. 일본헌병은 이로 인해 독립만세운동이 벌어질 것을 우려해 휴교령을 내렸고, 학생들은 에정된 졸업식도 못하고 졸업장을 집에서 받게 되었다. 이 사건으로 횡성읍에 대한 일본헌병의 감시가 강화되었고, 시장의 분위기는 삼엄해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천도교인을 중심으로 이미 시작된 만세운동의 기운은 횡성으로 이어지기 시작해 마침내 3월 27일 오후 1시, 횡성장터에서 신재근, 장도훈, 안경춘, 강만형, 윤태환 등의 주도로 300여명의 시위대가 만세운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