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page
78 2025년 10월 순국 Focus 역사의 시선으로 해외박물관 기행 USS 테네시(USS Tennessee, BB-43), USS 메릴랜 드(USS Maryland, BB-46), USS 펜실베이니아(USS Pennsylvania, BB-38) 역시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또한 순양함과 구축함, 항공기 180여 대가 파괴되 었다. 이에 비해 일본의 피해는 항공기 29대 격추, 잠수 정 5척 손실, 전사자 64명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단 기적으로는 일본의 압도적 전술적 승리로 평가된다. 진주만 기습은 선전포고 없이 단행된 불의의 공격으 로서 국제법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일본은 이 공 격을 통해 태평양 함대를 일시적으로 무력화하는 데 성공했으나, 유류 저장 시설과 수리 조선소, 그리고 항공모함 전력을 파괴하지 못함으로써 전략적 결정 타를 놓쳤다. 반면 미국은 참담한 피해에도 불구하 고 막대한 산업력과 동원력을 기반으로 빠른 속도로 전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진주만 기습은 미국 사회 내에서 오랫동안 유지되던 고립주의적 성 향을 근본적으로 전환시켰다. 1941년 12월 8일 미 국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였고, 이어 독일과 이탈 리아가 미국에 선전포고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 전은 전 지구적 차원에서의 총력전으로 확대되었다. 따 라서 진주만 기습은 일본의 단기적 승리이자 동시에 장기적 패배의 서막이 되었으며, 전쟁의 세계사적 전환점을 이룬 사건으로 평가된다. 애리조나호의 침몰과 기념관 건립 전함 애리조나호(BB-39)는 1916년 건조된 펜실 베이니아급 전함으로 길이 185m, 폭 29.6m, 배수 량 3만 톤이 넘는 석유 추진 전함으로 속도는 시속 40km였다. 대공포가 보강되었지만 상공에서 투하 되는 폭탄에는 여전히 취약했다. 1941년 진주만 기 습에서 뇌격기 폭탄 4발이 명중해 연료 탱크가 폭발 하며 단 9분 만에 침몰했고, 인양은 불가능했다. 포 일부만 수습되었으며 전사자 900여 구는 수습되지 못한 채 수장되었다. 침몰지 위에는 애리조나기념관 이 세워졌고, 이는 전쟁을 기억하기 위한 상징물이 되었다. 특히 많은 생존자들이 사후 자신의 유골을 동료들과 함께 배에 안치되기를 희망했으며, 1982 New York, East River에서 첫 항해에 나서 는 전함 애리조나호(BB-39) (1916.11.10) 애리조나호 침몰 장면(1941.12.7) 위키피디아 제공 뉴욕타임즈 진주만 공격 보도기사 (1941.12.8). New York Public Library 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