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page

해외박물관 기행 • ⑩ USS애리조나기념관 77 나기념관이다. 그 규모는 길이 약 56m, 중앙 부분의 폭은 8.2m, 양 끝은 11m이다. 중앙 높이는 4.3m, 양 끝은 6.4m로 설계되어 있다. 이 구조물은 USS 애 리조나의 침몰한 부분 위에 전사한 군인들의 시신 을 수장(水葬)한 채로 세웠는데, 실제 함체와는 접촉 하지 않게 설계되었다. 애리조나기념관을 건립하게 되었던 결정적 계기가 된 진주만기습은 어떤 역사적 사건일까? 태평양전쟁의 서막, 일본의 진주만기습 1941년 12월 7일 발생한 진주만 기습은 일본 제 국주의 팽창 정책과 미국의 견제가 충돌하면서 비 롯된 역사적 사건이었다. 일본은 1930년대 ‘만주사 변’과 중일전쟁을 거치며 대륙 침략을 확대하였고, 1940년 이후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진출하 며 동남아시아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팽창 은 석유와 철강 등 전략물자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일본의 경제 구조와 결합되어 더욱 강력한 자원 확 보의 필요성을 낳았다. 진주만 공격이 발발하기 이 전인 1937년 중일전쟁 이후 미국은 장개석(蔣介石, 1887~1975) 정부에 지원을 계속해주고 있었기 때 문에 두 나라의 관계는 이미 전쟁 직전의 상황으로 나빠진 상태였다. 미국은 1941년 7월 일본에 대한 석유와 철강 수출을 전면 금수(禁輸)하면서 사실상 경제적 봉쇄를 단행하였다. 일본은 이를 국가 생존 과 제국 유지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하였고, 결국 미국과의 전쟁을 불가피한 선택으로 규정하였 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본은 태평양에서 가장 강력 한 견제 세력이었던 미국 태평양 함대를 선제적으로 무력화시키기 위한 작전을 계획하였다. 일본의 진주 만 공격은 대성공이었지만,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중 립을 지키던 미국이 분노하여 연합군 측에 참전하게 된 계기를 만들었다. 미국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전사자는 2,403명, 부상자는 1,178명에 달하였다. 해군 전함 8척 가운 데 USS 애리조나(USS Arizona, BB-39), USS 오클 라호마(USS Oklahoma, BB-37)이 침몰하였으며, USS 웨스트버지니아(USS West Virginia, BB-48), USS 캘리포니아(USS California, BB-44)도 가라 앉았다. 나머지 USS 네바다(USS Nevada, BB-36), USS애리조나기념관 왼쪽에 디자인되어 있는 ‘생명의 나무’ USS애리조나기념관 아래에 폭파되어 수장된 애리조나 전함의  잔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