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page
여기서 우리가주목 해야할것은다 음 과같은점이다. 이상락시의원은  『말 』지 기  고글에서 성남시 45명의 시의원중호 남지역을 제외하고전국에서 유일하게 야당  성향 의원이 1/3이  넘는 다고 밝혔다.  29명이  민자당, 15명이  신민당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다 른 자료 를 보면  이러한  구분이  의미 없디는 걸 알게  된다.  45명  중 시 ·  구 · 동정  지문위원회 출신이  19명, 새마을 운동 출신이 10명, 바르게살기운동 성남  시협의회 출신이 8명, 자유총연맹 출신이 5명이었기  때문이다.30 전국적으로도 이  와  비슷했다. 지방  의원 중  1040명(전체  지방  의원의  20.1%)이  새마을 지도자였던 것이  다.그렇다면이러한분석이무엇을의미하는가?하승수의다음글을살 펴보자  결국 1991년  지빙 의회  선거는 지역에서 기득권을갖고 있던  유지들에게  지방 정치의 지리  를분 배함으로 써 그들을 명실상부 한지역의명사와 실력자들로빠규아 놓은기능 만한셈  이 되었 다 31  왜 이런 결 과가나왔던가?단순히 지역만이 아니라전국적으로거의 비슷한상황  이었으므로 개괄정리하자면, 한마디로 지방의회에 참여할준비가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참여와 불참,  적극적 참여와 공정 선거 활동, 장기적  관점의  지역운동 을 강화하지는 등으로의견만분분했다. 1991년 3월 5일 원대한포부 플 밝  혔던  ‘참여와자치를 위한시민연대회의’ 에서 15명이 출마선언을 한것을필두 로,  경실련과 공명선거실천  시민운동협의회 등이 각기 행동에  나섰다.  그러나 결괴는  앞서 밝힌  민중당의 성희직 도의원이나 성남시의  이상락  시의원 을 제외하면 손에  꼽을  정도이다.  최순영(정기  부 천), 홍미 영(인천 북구),  김혜경( 서울관악귀 등이  그 들이다.  결국 민주호댄동 세력의 정치적  진출은 실패했다 다 른  원인도 있을 것이다 자료  에 의하면, 수도권 시민  단체의 82% 가 1990년 이후에 설립되었다_32 이는  민주화운  동진영의 미땐정치의식과조직화에 맞 물려  이제 겨우자리 잡기 시작한시민운  동단체의 역량 을 고려한다면 한마디로여당의선거판에들러리를 섰다는 결론이  내려진다.  繼 M  · ”  ’  에  30하승수, r 지역,지방자치,그리고민주주의』,후마니타스, 2007  31 협약 , r지역, 지방자치,그리고민주주의』, 후마니타스,2007.  3? 딴 F 수, 『지역,  지방자치, 그리고  민주 주의」,후마 니타스, 2007,  26 쪽  72  제7권 -민주주의  민주화운동과시민사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