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page
70 2025년 10월 순국 Focus 역사의 시선으로 순국스크랩 이 산하 어디에 가서 당신만한 큰 인물을 찾겠습니까? 경북 안동 - 일송 김동삼 선생 순국스크랩 구국 의병항쟁 열전 - 거룩한 구국항쟁의 현장을 가다 ㉒ 일제에 가장 적극적인 투쟁 방법 - 무장투쟁 일제 강점기 동안, 독립운동 방법은 여러 가지 유 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독립운동가에게 군 자금을 대는 일, 그 둘은 외교로써 국권회복에 이바 지하는 일, 그 셋은 우리말과 글을 지키는 일, 그 넷 은 독립군에게 주먹밥을 만들어 주고 잠자리를 마련 해 준 일 등, 이 모두 당시로서는 대단한 위험을 무 릅쓴 눈물겨운 항일 독립운동이었다. 그러나 그 가 운데서 포악무도 간악한 일제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투쟁 방법은 그들과 정면으로 총칼을 들고 맞서 싸 우는 무장투쟁이었다. 무장투쟁론자들은 이 방법만 이 국권을 회복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믿고 행동 글 박 도(전 이대부고 교사, 소설가) 역사학자들은 일제강점 독립운동 초기 중국 동북(만주)에서 벌인 3대 무장항쟁 지도자로 김동삼, 오동진, 김좌진 장군을 꼽는다고 한다. 만일 이분들의 빛나는, 피 흘린 투쟁사가 없었다면 오늘 우리는 얼마나 참담한 심정일까? 우리 민족의 자 긍심을 어찌 말할 수 있으며, 민족정기를 어찌 논할 수 있으랴. 이에 20세기 초 구국 의병항쟁의 맥락을 잇는다는 측면에 서 김동삼과 윤봉길, 이상룡 선생을 연말까지 연재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