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page


64page

멀리 높은 산이 불갑산이다. 함평 사건의 개요는 이렇다. 50년 11월 전남 함평군과 영광군의 경계를 이루는 불갑산 일대에 퇴로를 차단당한 빨치산들이 숨어들었다. 11사단은 이 지역에 5중대를 주둔시켜 토벌 임무를 수행케 했다. 당시 5중대는 불갑산 외곽 월야·해보·나산 면을 잇는 교통 요지 문장에 중대본부를 설치하고 작전에 들어갔다. 하달된 작전 명령은 ‘견벽청야’로 작전 지역내 모든 사람을 사살하고 가옥과 곡식도 모두 불태우라는 내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첫 비극은 50년 12월6일(음력 10월27일) 발생했다. 나흘 전 빨치산과의 전투에서 부대원 2명을 잃은 5중대는, 이날 전투 지역에 있는 나산면 동촌리와 장교리 마을 주민 70여 명을 불러내 논두렁에서 집단 사살했다. 군인·경찰 가족마저 총살했을 만큼 이성을 잃은 만행이었다. 이튿날인 12월7일 5중대는 다시 월야면 월악리 지변·내동·순촌·송계·괴정·성주·동산 등 7개 부락 주민 1백30여 명을 총살했다. 당시 공비 토벌 업무를 보조하던 방위군 소대장(정병오씨)마저 권준옥 중대장의 권총에 사살되었다. 현지에서 지금도 ‘남살뫼 학살’이라 부르는 이 참극의 현장에서 무고한 양민 학살을 만류했다는 이계필 월야지서장(73·서울 동교동 거주)은 “당시 5중대장은 아무런 조사도 기준도 없이 부락민들을 불러내 무조건 사살했다. 남살뫼에 모인 7백명이 넘는 주민을 학살하겠다는 것을 내가 노인과 15세 미만 어린이라도 빼자고 하소연해 그나마 목숨을 구해 줄 수 있었다. 되돌아보면 참으로 잔혹한 양민 학살이었다. 정부가 조사를 한다면 그 날의 실상을 그대로 증언하겠다”라고 밝혔다. 남살뫼 학살 사건 사흘 뒤인 12월10일 5중대 병력 일부는 나산면 외치리에 들러 마을 주민 21명을 공동 묘지로 불러내 집단 총살했다. 간밤에 빨치산들이 내려와 마을 앞 도로를 파헤쳤는데 그것이 이 마을 주민 소행이라며 취한 조처였다. 이 학살이 있고 나서 40일 뒤 해보면 상곡리 모평 마을에서 또 한차례 양민 학살극이 벌어졌다. 이 마을은 소개 지역이어서 마을 주민들이 집을 비우고 나갔는데 뒤에 들어온 8중대 병력이 마을 주민에게 그냥 들어가 살라고 명령했다. 주민들이 귀가한 뒤 갑자기 들이닥친 5중대는 명령을 어겼다며 마을 주민들을 불러내 산기슭에 기관총을 설치하고 50여 명을 사살했다. 5중대와 8중대의 핑퐁 게임식 명령에 우왕좌왕하다 억울하게 학살된 것이다. 이처럼 50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월야·해보·나산 면에서 집단 학살된 주민은 5백24명, 가옥 소실은 1천4백54호에 이르렀다. 이는 60년 국회 양민학살특별조사위원회가 현장을 방문해 조사한 결과이다. 당시 국회는 끔찍한 양민 학살이 있었음을 확인하고 후속 조처를 행정부에 이관했다. 그러나 이듬해 일어난 5·16과 계속된 군사 정권에서 이 사건은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5중대장 권준옥씨는 70년에 중령으로 예편한 뒤 낚시 가게를 운영하다 91년 62세 나이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이한 사실은 예편 후 그가 이름을 ‘권영구’로 바꾸고 살았다는 점이다. 거창 사건과 함평 사건의 공동 책임선이라 할 수 있는 사건 당시 11사단장 최덕신은 아이러니하게도 64년 북한으로 망명했다. 그후 줄곧 북에서 대남 선전의 이용 도구가 되었던 최덕신은 현재 평양 애국열사릉에 묻혀 있다. 출처 : 시사저널 1998년 8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