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page
61page
경성을 조선집으로 지켜내자.
1920년대 들어 일제는 경성 남쪽에 살고 있는 일본 거류민 생활권을 북쪽으로 이동시키고 있었다. 이제 맞선 이가 정세권이고 대표 기업이 그가 세운 건양사다. 정세권과 건양사 등은 조선집 마을 조성으로 식민 권력이 주도하고 있는 왜인 주거지 확장 공세에 응전했다. 익선동 개발을 시작으로 가회동·삼청동 일대 북촌 조선집 마을을 만들고, 봉익동·성북동·혜화동·창신동·서대문·왕십리·행당동 등지로 사업을 펼쳐나갔다. 이는 경제활동이자 동시에 문화활동이었다. 조선집 도시마을은 한국인에게 비록 국권은 상실했지만 일상문화를 지켜내고 있다는 위로와 자긍심을 주기에 충분했다. 정세권은 한국인을 대표하는 지식인 등에게 조선집에 살도록 유도했다. 장차 그들 중 몇몇이 훼절하기는 했지만 어쨌든 조선집은 조선인, 한국인이 사는 곳이었다.
사람은 집을 만들고, 집은 거기 사는 사람을 이데올로기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재구성한다. 조선집 마을은 단지 기와집 여러 채가 모여 있는 곳이 아니라 식민지 체제 아래 조선식 일상생활을 형성시켜내고 그 동네 사람들은 조선인으로 재(再)자각시켜내는 구실을 수행해냈다. 이 동네에서 한국 문화가 전승, 재창조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61page
조선총독부와 헌병대를 비롯한 병영, 신사 등 국가종교시설, 금융기관과 상가 등이 몰려있는 남산 북쪽 일대에 살던 일본인들은 차츰 경성 중심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식민지 경성 인구는 팽창하고 있었고 집과 방이 없는 사람들이 늘어난 주택난이 심화되고 있었다.
일본인들은 한국인 전통공간인 북쪽으로 진출을 꾀하고 있었다. 이에 맞서 정세권과 건양사 등이 전개한 조선집 건축사업은 일상과 생활문화로써 개발이자 저항이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경성에 생활 저항선을 구축하여 일본인 진출을 차단하고자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서울에는 널리 도시형 한옥단지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북촌은 그 대표적 산물이다.
1910년 27만 명 정도였던 경성 인구는 1940년대 초 90만 명 이상에 이르는 대도시가 되었다. 일제가 외교권을 빼앗은 1905년 을사늑약 이후로 일본인들 이주가 빠르게 늘었고, 1944년 일본인 포함 전체 외국인 숫자는 약 78만 명이었다. 1920년대 상업자본이 경성에 집중되어 현재 충무로, 을지로 일대에 주로 일본인 회사가 분포했고, 1920년 후반에는 경성지역 민간 토지 절반 이상은 일본인 소유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