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age
Contents ■ 월간 『순국』에 게재된 글들의 내용은 발행처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아울러 게재된 글을 전재코자 할 때는 발행처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2025년 9월호 (통권 제416호) Intro l 순국의 창 4 애국 시 · 어록비 순례 · 백산 지청천 장군 Column l 작은 소리 큰 울림 8 명사 칼럼 ➊ · 잊혀진 한말 무명의병, 그들은 누구이고 왜 기억해야 하나 강진갑(무명의병포럼 대표, 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원장) 12 명사 칼럼 ➋ · 가슴 뭉클하게 하는 전사자들에게 바치는 헌시 김학준(단국대학교 석좌교수) 순국 특별 초대석 16 만나고 싶었습니다 · 최병구 서울역사박물관 관장 순국 People | 아름다운 사람들 52 이달의 순국선열 · 안무 장군·홍진 선생 60 9월의 독립운동 · 한국광복군 창설 66 이달의 6·25 전쟁영웅 · 이성호 대한민국 해군 중장 68 여성독립운동가 열전 · 김구 주석의 경호원 출신 부부광복군 ‘김봉식’ 이윤옥(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 1938년 10월 10일 중국 우한(武漢)에서 결성된 조선의 용대는 중국 관내 광범한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대원들 은 주로 일본군을 대상으로 한 심리전과 유격전, 그리고 중국군과 민중을 대상으로 한 선전 및 항일운동을 전개 하였다. 1942년 7월 이후 조선의용대는 중국국민당 관 할지역의 한국광복군과 중국공산당 관할지역의 조선의 용군으로 분화하였다.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조선의 용대를 다시 살펴 본다. Special Theme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중국 관내 항일무장조직 조선의용대의 재조명’ 26 Theme ➊ 조선의용대의 창립과 중국 화북지역에서의 활동 박동환(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강사) 34 Theme ➋ 조선의용대의 한국광복군 합류 김광재(전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40 Theme ➌ 중국 국민정부와 조선의용대 배경한(전 신라대학교 사학과 교수) 46 Theme ➍ 조선의용군의 활동과 만주(중국동북) 진출 염인호(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