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page
58page
섬의 생김새가 반달의 꼬리를 닮았다하여 月尾(월미)라 불리운 이 섬은 月尾島(월미도) (김정호의 <청구도>), 濟物島(제물도) (17C <팔도지도>) 라고도 불리었다. 해발 105.1m, 섬 둘레 4km, 면적 0.6㎢의 이 아름다운 섬은 그러나 근대의 초입에 이르러 로즈섬 이란 이름을 얻게되고, 이후 줄곧 한국 근.현대사와 영욕을 함께했다.
1629년 숙종 6년에 왕이 유사시 강화로 피신하기 위해 임해사지에 월미행궁을 축조
1703년 숙종34년 월미산 정상에 포대 설치
1866년 프랑스 함대 강화도에 침입하여 병인양요 발생. 프랑스 함대 사령관 로즈(Pierre G.Roze) 해도에다 월미도를 'Roze Island'로 명명
1871년 신미양요를 일으킨 미국 로즈스(J.Rodggers) 함대, 월미도 앞바다에 무단 정박
1875년 일본군함 운양호, 월미도에 무단 정박했다가 강화도에서 포격사건 유발
1876년 운양호포격사건을 계기로 강화도조역(한일수호조약)이 체결되어 조선 개항
1882년 임오군란 발생, 그 수습책으로 불평등한 제물포조약 체결. 일본공사 하나부사 군란을 피해 월미도로 잠입하여 도주
1883년 1월 1일을 기해 인천항 개항
1884년 갑신정변 3일천하, 김옥균, 서재필을 비롯한 개화파 인천항을 통해 망명
1890년 일본과 월미도기지 조차조약 체결, 4,900평을 일본에 조차
1894년 청일전쟁 발발로 월미도가 일본의 병참기지화
1896년 아관파천을 틈타 러시아도 월미도에 저탄고 설치
1897년 미국 스탠더드 석유회사(Standard Oil Co), 월미도에 석유창고 건조
1904년 러.일전쟁 발발로 월미도 근해가 외세의 전쟁터가 됨. 2월 9일 러시아 군함 코레츠, 와리야크, 숭가리호 소월미도 부근에서 차례로 자폭
58page
1906년 일본군이 자재 운반을 위한 월미도 교량 준공
1908년 일본인들이 월미산 정상에 愛宕神社 건립
1910년 8월29일 경술국치(한일합방조약 공포)
1910년 월미도가 일본인에게 매도된 것에 항의, 을사오적 주살을 상소한 金奭鎭(김석진) 열사 순절
1918년 인천부에서 월미도를 관광지로 조성하기 위해 풍치지구로 지정. 월미산 중턱에 회주도로를 뚫고 그 주변에 벚나무, 아카시아 등을 심어 가꿈. 북성지구에서 월미도에 이르는 길이 1km, 왕복 2차선 제방둑길 축조
1920년 월미도 북쪽 해안에 해수욕장 개장
1923년 임해학교가 설치되고 부설해수욕장 운동장, 야외극장, 수족관 등이 생김
1923~1945년 진입로 확장으로 월미도가 관광, 유원지의 전성기를 구가, 일본 만철회사와 유원회사에 의해 조양, 빈호텔, 용궁각 등 유흥시설이 구축
1945년 해방 직후 인천에 미군이 진주. 해양경비대의 주둔지로 되면서 월미도 폐쇄
1949년 시민들의 열망속에 '월미도관광주식회사'가 설립되고 월미도 부분 개방
1950년 9월 15일 인천생륙작전의 최초 목표지점인 월미도에 집중 포화. 연합군 상륙 점령이후 월미도는 다시 군사 요새화
1962년 월미도 해안도로 건설
1966년 건설부 고시로 도시계획상 자연공원으로 지정
1988년 시민의 휴식처와 문화공간으로 삼고자 해안일대에 '월미도 문화의 거리' 조성
1989년 동.서 냉전체제의 해제
1999년 인천광역시와 국방부 사이에 월미도 주둔 군부대 이전 합의
2001년 10월 15일 월미공원 귀환및 시민 개방
58page
월미도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