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page
56 2025년 10월 순국 PEOPLE 아름다운 사람들 10월의 독립운동 한글날 연대기 - 서막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때부터 지금까지의 한글에 대한 평가는 다음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한글은 과학적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기 때문에, 말소리를 정밀하게 표기할 수 있으면서도 가장 쉽게 배울 수 있다.” 국가보훈부는 ‘한글날 제정’을 ‘2025 년 10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 이에 그 의미와 조선어연구회(조선 어학회) 등의 활동을 ‘한글날 연대기’ 형식으로 간단히 짚어 보고자 한다. 주시경의 제자들이 결성한 조선어연 구회는 1924년 2월 1일에 한글 창제 기념식을 치렀다. 한글 기념일이 대 중적으로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26 년 11월 4일 훈민정음 반포 8회갑식 을 치르면서부터다. 한글날은 2005 년에 국경일로 격상되었고, 2013년 에 공휴일로 부활하였다. 일제강점기 때와 달리 이제 우리가 이룬 정치, 경 제, 문화적 성과 위에서 한글의 의미 를 생각할 때이다. 분명한 것은 오늘 한글날의 의미는 오늘 한글을 쓰면서 사는 우리가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점 이다. 10월의 독립운동 한글날 제정 우리 말·글 지켜 민족 지켜야 한다는 소명의식 한글날 의미는 한글 쓰는 우리가 만들어 나가야 조선어연구회 1924년 2월 1일 한글(훈민정음) 창제 기념식 1926년 훈민정음 반포 기념식, 1945년 한글날 기념 글 국가보훈부 제공 일제강점기 한글날 제정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