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page
화성지역에 동학이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1862년 12월경 이칭-선이  경기도 접  주로  임명될  당시인  것으로  보입니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이  발생했을  때  남양  부민은  6월  28일  고을  관아를  습격하면서  봉기했습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  로  탐관오리를 처벌하기  위해 정인식과 이군옥  등의  주도하에 일어난  항거였습  니다.  또한  우정  -장안면의  농민들도  수원의  고석주  접주가 거느리는  농민군에  가담하여 활약하다가 일본군과  관군에  패하여  많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렇듯  화성지떡의 민중들은  동학농민전쟁의  농민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러  한  역사경험은 천도교로  발전하면서  종교운동을  경기도의 어느  지역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번창시켰습니다.  동학의  제3대  교조  손병희는  15>05년  12월  1일, 동학의  정통을  계승하는  교  단으로서 천도교를  선포하였습니다.  천도교는 매국적  성격을  띠고 활동하고  있  는  일진회를 배격하면서  교세확대에  힘쓰며  문화계몽을  내걸고  애국계몽운동을  펼쳐나갔습니다.  천도교의 사상은  손병희가  강조한  ‘인내천’이 중심입니다.  인내천  사상은  ‘자기  마음을  스스로  깨달으면  그  몸이 곧  하늘이고  그  마음이  곧  하늙이다’라고  풀이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사람의  톰과  마음이  하늘이라는  것으로  사람이 곧  하늘  이라는  것입니다.  천도교의 기본적인  사상은  동학단계에서부터띄 인간존중이었  습니다.  천도」폐  발전  속에  수원교구와  남양교구가  두어지고  교인뚫이 늘어났습니  다. 천표교가  1914년  7월  대교구를  설립할 때  수원교구는  수원대교구로  승격되  었습니다.  이때 수원교구장  나천강과  남양교구장 김대식이  물러나고,  새로운 수  원군  대교구장과  수원군 교구장을 01종석이  맡았고 남양교구장은  한세교가  임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