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page
54page
조기섭은 박매지 임봉구의병부대에서 활약했다. 지리산일대에서 일본군과 수차례 교전했으며 많은 전공을 세웠다. 1908년 10월 6일 청암면 안양리에서 일경및 일본군의 기습공격을 받고 교전끝에 전사했다.
공훈록 : 경남 하동(河東) 사람이다. 일제는 1905년 화폐개혁을 통해 경제를 파탄으로 몰아넣더니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하여 내정을 간섭하였다. 1907년에는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내정을 완전 장악한 후 군대마저 강제 해산하였다. 이제 대한제국은 자주권을 잃어 사실상 국권을 상실한 것과 같았다. 이에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봉기하여 국권회복을 위해 일제와 항쟁하였다. 전기의병 당시 활동했던 의병장을 비롯하여 평민 의병부대가 거의하여 의병전쟁을 전민족적 운동으로 발전시켜 갔다. 당시의 의병봉기는 일제 뿐 아니라 평소 일제의 정책에 부화뇌동하던 친일관료와 일제에 기생하며 민족적 과제를 외면하던 부일배 역시 응징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의병활동 역시 일제와의 직접적인 전투 뿐 아니라 군자금 모집, 친일관료 응징 등으로 표현되었다. 아울러 의병진의 전력도 증강되어 전국 곳곳에서 일군과 치열한 교전을 벌였다. 일부 기록에 의하면 1907년 이후 1909년까지의 의병 전사자가 10만명으로 알려질 정도로 국권회복을 위한 의병들의 항쟁은 처절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국가가 존망의 기로에 서자 조기섭은 일제를 이 땅에서 몰아내기 위해 1908년경 이성로(李成魯)의진에 참여하여 대일항전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수십 명의 군사들과 함께 경남 하동군(河東郡) 청암면(靑巖面)을 근거로 인근 면을 넘나들며 활동하였다. 그러나 동년 10월 청암면 안양리(安養里)에 주둔 중 일본군의 기습 공격을 받고 교전 끝에 체포되었다. 그는 연행 도중 틈을 보아 탈출을 기도하다가 피살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0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54page
조기섭은 박매지 임봉구의병부대에서 활약했다. 지리산일대에서 일본군과 수차례 교전했으며 많은 전공을 세웠다. 1908년 10월 6일 청암면 안양리에서 일경및 일본군의 기습공격을 받고 교전끝에 전사했다.
공훈록 : 경남 하동(河東) 사람이다. 일제는 1905년 화폐개혁을 통해 경제를 파탄으로 몰아넣더니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하여 내정을 간섭하였다. 1907년에는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내정을 완전 장악한 후 군대마저 강제 해산하였다. 이제 대한제국은 자주권을 잃어 사실상 국권을 상실한 것과 같았다. 이에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봉기하여 국권회복을 위해 일제와 항쟁하였다. 전기의병 당시 활동했던 의병장을 비롯하여 평민 의병부대가 거의하여 의병전쟁을 전민족적 운동으로 발전시켜 갔다. 당시의 의병봉기는 일제 뿐 아니라 평소 일제의 정책에 부화뇌동하던 친일관료와 일제에 기생하며 민족적 과제를 외면하던 부일배 역시 응징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의병활동 역시 일제와의 직접적인 전투 뿐 아니라 군자금 모집, 친일관료 응징 등으로 표현되었다. 아울러 의병진의 전력도 증강되어 전국 곳곳에서 일군과 치열한 교전을 벌였다. 일부 기록에 의하면 1907년 이후 1909년까지의 의병 전사자가 10만명으로 알려질 정도로 국권회복을 위한 의병들의 항쟁은 처절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국가가 존망의 기로에 서자 조기섭은 일제를 이 땅에서 몰아내기 위해 1908년경 이성로(李成魯)의진에 참여하여 대일항전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수십 명의 군사들과 함께 경남 하동군(河東郡) 청암면(靑巖面)을 근거로 인근 면을 넘나들며 활동하였다. 그러나 동년 10월 청암면 안양리(安養里)에 주둔 중 일본군의 기습 공격을 받고 교전 끝에 체포되었다. 그는 연행 도중 틈을 보아 탈출을 기도하다가 피살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0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54page
조기섭은 박매지 임봉구의병부대에서 활약했다. 지리산일대에서 일본군과 수차례 교전했으며 많은 전공을 세웠다. 1908년 10월 6일 청암면 안양리에서 일경및 일본군의 기습공격을 받고 교전끝에 전사했다.
공훈록 : 경남 하동(河東) 사람이다. 일제는 1905년 화폐개혁을 통해 경제를 파탄으로 몰아넣더니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하여 내정을 간섭하였다. 1907년에는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내정을 완전 장악한 후 군대마저 강제 해산하였다. 이제 대한제국은 자주권을 잃어 사실상 국권을 상실한 것과 같았다. 이에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봉기하여 국권회복을 위해 일제와 항쟁하였다. 전기의병 당시 활동했던 의병장을 비롯하여 평민 의병부대가 거의하여 의병전쟁을 전민족적 운동으로 발전시켜 갔다. 당시의 의병봉기는 일제 뿐 아니라 평소 일제의 정책에 부화뇌동하던 친일관료와 일제에 기생하며 민족적 과제를 외면하던 부일배 역시 응징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의병활동 역시 일제와의 직접적인 전투 뿐 아니라 군자금 모집, 친일관료 응징 등으로 표현되었다. 아울러 의병진의 전력도 증강되어 전국 곳곳에서 일군과 치열한 교전을 벌였다. 일부 기록에 의하면 1907년 이후 1909년까지의 의병 전사자가 10만명으로 알려질 정도로 국권회복을 위한 의병들의 항쟁은 처절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국가가 존망의 기로에 서자 조기섭은 일제를 이 땅에서 몰아내기 위해 1908년경 이성로(李成魯)의진에 참여하여 대일항전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수십 명의 군사들과 함께 경남 하동군(河東郡) 청암면(靑巖面)을 근거로 인근 면을 넘나들며 활동하였다. 그러나 동년 10월 청암면 안양리(安養里)에 주둔 중 일본군의 기습 공격을 받고 교전 끝에 체포되었다. 그는 연행 도중 틈을 보아 탈출을 기도하다가 피살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0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