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page

52 2025년 10월 순국 PEOPLE  아름다운 사람들 이달의 순국선열 주시경 사숙하면서 한글 연구 기초 닦아 1888년 12월 24일 경상남도 김해군 우부 면 답곡리(沓谷里, 현 김해시 대성동)에서 아 버지 이용준과 어머니 이임이의 장남으로 태 어났다.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호는 환산(桓 山) · 한산 · 한메 · 한뫼이며, 다른 이름(前名)은 이여민(李 䴡 民)과 이검신(李儉臣)이다. 1894 년에서 1905년까지 11년간 마을의 서당에 다니며 한문을 공부하며 사서삼경을 독파하 였고, 재주가 비상하여 신동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1905년부터 1906년까지 김해공립보통학 교를 다녔고, 1906년부터 1907년까지 대구 의 계성중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09년에서 1911년까지 기독교 계통의 인사들이 설립 한 김해 합성학교에서 교원으로 근무하였다. 핵심공적 영변에서 3 · 1운동에 참가 하였고, 조선어 사전 편찬 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다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체 포되어 함흥감옥에서 옥사 하였다..  ■ 건국훈장 독립장 이윤재(李允宰) 선생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1943년 함흥에서 옥사 영변 3 · 1운동 참여 조선어 사전 편찬 큰 활약 “우리는 꼭 바라고 나아갈 희망 한 가지가 있다. 그 를 여기에서 기다랗게 말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모를  리 없다. 이 희망만은 어느 때 까지든지 꼭 이루고야  말리라는 것까지도 잘 안다. 우리는 이 희망을 이루 면 잘 살고, 이루지 못하면 잘 살지 못할 것까지도 안 다.(…)오늘부터 우리가 전민족적으로 대방침을 세우 고 대계획을 정하자.” - 1927년 신년의 희망을 밝힌  글 중에서(『동광』 제9호, 1927.1) 글 편집부 주요약력 ● 1888년 12월 24일 경남 김해 출생   ● 1905년 김해 합성학교 교사  ● 1919년 3월 영변 3 · 1운동 참여, 평양감옥에서       1년 6개월 복역 ● 1922년 흥사단 단원 ● 1924년 3월 베이징(北京)대학 사학과 졸업  ● 1929년 조선어사전편찬회 발기인·상무위원 ● 1931~1937년 조선어사전편찬회 간사, 조선어사전  편찬 전임위원, 조선어학회 조직, 수양동우회 활동  ● 1937년 6월 7일 수양동우회사건으로 서대문감옥  투옥 ● 1942년 10월 1일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함남 홍원 경찰서 구금 ● 1943년 12월 8일 함흥감옥에서 옥사 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