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page
충북독립운동사개관 51 (2) 의병전쟁 충북지역 독립운동사 분야 가운데에는 의병 연구가 60여 편으로 압도적이다. 187) 특히 제천의 병은 여러 편의 박사학위 논문의 대상이 되었다. 정제우와 유한철은 의병장 연구를, 188) 구완회· 이원희 등은 제천 의진을 분석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89) 한편 제천의병 100주년기념사 업회와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는 1996년 제천 을미의병 10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세 미나를 개최하여 제천 을미의병을 종합적으로 조명한 바 있다. 190) 또한 김상기와 최재우의 제천 의병에 관한 일련의 논고도 주목되며, 이구영은 호좌창의군 관련 자료를 편역하여 자료로 제공 한 바 있다. 191) 현재 제천시는 2001년 완공을 목표로 의병기념관의 건립을 진행 중에 있다. 충 북의 의병 연구 는 거의가 제천과 을미의병에 집중되어 있으나, 청주와 괴산 일원을 근거 지로 하여 크게 활약한 후기 의병장 한봉수에 대한 박걸순의 논저도 있다. 192) 한편 의병 이후 1910년대의 대한광복회 충청도지부의 결성과 활동에 대한 논고도 있으나, 충남의 ‘홍주문화권’ 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93) (3) 3·1운동 3·1운동은 일제하 최대의 독립운동이었다. 따라서 3·1운동에 대하여는 독립운동사의 어느 분 야보다도 많은 연구업적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충북의 3·1운동은 김진봉과 황부연의 연구가 있 을 뿐이다. 김진봉은 호서지역 3·1운동의 요인과 전개, 성격을 밝혔고, 194) 황부연은 보다 범위를 좁혀 충 북지역 3·1운동의 배경과 각 지역별 만세시위, 일제의 탄압, 충북 만세운동의 특징을 검토하였 다. 195) 한편 박걸순은 의병장 한봉수가 3·1운동을 주도한 사실을 독립운동선상에서 의병과 3·1 187 충북학연구소, 1999, 『忠北學文獻目錄集』, 408~410쪽 참조. 188 鄭濟愚, 1992, 『舊韓末 義兵將 李康秊 硏究』,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柳漢喆, 1997, 『柳麟錫 義兵 硏究』,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9 具玩會, 1997, 『韓末의 堤川義兵』, 집문당 李元熙, 1997, 『堤川地域의 乙未義兵 硏究』,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0 제천의병 100주년기념사업회·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96, 『堤川 乙未義兵 100돌 紀念學術論文集』 참조. 191 李九榮 編譯, 1994, 『湖西義兵事蹟』, 제천문화원. 192 朴杰淳, 1996, 「義兵將 韓鳳洙의 抗日鬪爭」, 『한국독립운동사연구』10 및 한봉수의병장동상건립추진위원회, 1998, 『 舊韓 末 義兵將 韓鳳洙의 抗日鬪爭』 참조. 193 李成雨, 2000, 「대한광복회 충청도지부의 결성과 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제12집, 58~87쪽. 194 金鎭鳳, 1987, 「湖西地方 3·1運動의 性格」, 『한국독립운동사연구』1, 129~150쪽. 195 黃富淵, 1987, 「忠北地方의 三·一運動」, 『忠北史學』제1집, 1~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