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page

덕양재
44page

덕양재
44page

三嘉(삼가) 大幷(대병)의 嶽堅山(악견산) 아래 松旨(송지)마을이 있으니 國初(국초)에 贈吏曹參判(증이조참판) 拙堂(졸당) 朴先生(박선생)이 그 山水(산수) 景觀(경관)의 아름다움을 좋아하여 遯居終老(둔거종로)하신 곳이라. 先生(선생)의 孫子(손자) 成均生員(성균생원) 軍資監判官(군자감판관) 諱(휘) 書林(서림)의 墓域(묘역)이 泉洞(천동)에 있어 그 아래 있는 墓閣(묘각)을 源泉齋(원천재)라 하니, 곧 生員公(생원공) 後孫(후손)이 齊宿(제숙)하고 追慕(추모)하는 齋堂(재당)이다. 生員公(생원공)의 아들 3兄弟分(형제분)이 아울러 賢哲(현철)하여 先祖(선조) 聲烈(성렬)을 잘 承述(승술)하였다. 伯公(백공)은 奉事(봉사) 蕃(번)이니 草溪(초계)로 移居(이거)하셨고 仲公(중공)은 進士(진사) 萱(훤)이니 漆原(칠원)으로 移居(이거)하셨고 季公(계공)은 判決事(판결사) 蓁(진)이니, 丹城(단성)으로 移居(이거)하셨다. 齋閣(재각) 刱建(창건)은 지난 甲寅年(갑인년)이었으나 歲月(세월)이 오래되어 朽壞(후괴) 莫心(막심)하여 後孫(후손)이 그 舊屋(구옥)을 헐고 新材(신재)로 重建(중건)하여 더욱 擴張(확장)하였으니 愌然(환연)이 돋보인다. 癸酉年(계유년) 夏節(하절)에 後孫(후손) 宗賢(종현), 鐘洛(종락),興濟(흥제),東源(동원)이 遺狀(유장)을 가지고 나를 尋訪(심방)하여 그 經委(경위)를 說明(설명)하고 重建記文(중건기문)을 付託(부탁)하는지라. 大概(대개) 慕先(모선)하는 齋堂(재당)을 源泉齋(원천재)라 하였으니 그 意旨(의지)가 깊다. 祖先(조선)이 子孫(자손)에게는 샘의 근원과 같으니 근원이 깊으면 그 흐름이 반드시 먼 故(고)로 子孫(자손)이 祖上(조상) 追慕(추모)함은 반드시 그 근원읕 溯及(소급)하고 그 흐름읕 멀리 達(달)하게 하는데 있고, 또한 祖先(조선)이 앞에서 德(덕)읕 累積(누적)하고 子孫(자손)이 그 陰德(음덕)을 크게 받아 恩澤(은택)이 後孫(후손)에게 흩러내리는 것이 샘의 근원이 깊어 흐름이 遠達(원달)하는 것과 같다. 回想(회상)컨데, 生員公(생원공)이 才智(재지)와 器量(기량)으로 賢祖(현조)의 忠孝(충효) 聲烈(성렬)읕 承述(승술)하여 일찍 國庫(국고)에 올랐으니 宜當(의당)히 風猷文學(풍유문학)의 赫然(혁연)함이 있을 것이로되 높은 官職(관직)엔 意念(의념)이 없고 雲林山水(운림산수) 깊은 곳에 自靖(자정)하였으니 可(가)이 그 高尚(고상)한 志概(지개)를 엿볼 수 있다. 이제 여러 고을 子孫(자손)이 門户(문호) 蕃昌(번창)하여 文學(문학)과 德行(덕행)으로 先德(선덕)을 밝게 繼承(계승)하고 오는 後孫(후손)에 嘉法(가법)을 遺傳(유전)하였으니 이것은 流澤(유택)이 滾滾不絶(곤곤부절)하여 流派(유파)가 長遠(장원)함과 같은지라. 그러한 즉 泉(천)과 人(인)이 서로 符合(부합)한 것이 偶然(우연)함이 아니요, 이 源泉齋(원천재)의 齋名(재명)이 公(공)을 證明(증명)하는 寫眞(사진)이라 할지로다. 生員公(생원공)이 陰德(음덕)과 善行(선행)을 遺傳(유전)함은 그 근원이 깊은 것이요, 子孫(자손)이 蕃昌(번창)하여 善繼善述(선계선술)함은 그 流派(유파)를 遠(원)하는 것이니, 後人(후인)의 責任(책임)이 어찌 더욱 그 源泉(원천)을 溯及(소급)하는데 있지 아니하리요. 별처럼 많은 宗族(종족)이 비록 遠近(원근) 親疎(친소)의 分界(분계)가 있다 하여도 祖上(조상)이 보면 모두 한 子孫(자손)이라. 진실로 祖先(조선)이 같이 보는 마음으로 내 마음을 가지면 孝悌敬宗(효제경종)의 心情(심정)이 어찌 油然(유연)이 發生(발생) 아니 하리요. 齋堂(재당)에 居處(거처)하고 留宿(유숙)하며 天倫(천륜)읕 즐거하는 사람은 마땅히 顧名思義(고명사의)하여 先業(선업) 繼述(계술)에 注念(주념)하고 詩禮學問(시례학문)에 힘을 다하여 오늘날 重建(중건)한 것을 相傳(상전)하는 傳統(전통)을 삼으면 이 齋堂(재당)이 옛날 甄氏(견씨)의 思亭(사정)과 같이 千秋(천추)에 傳(전)할 것이다. 歲(세) 癸酉年(계유년) 孟秋(맹추) 上澣(상한)에 完山(완산) 李雨燮(이우섭) 삼가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