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page


44page

최제학은 1906년 의병장 최익현선생 막하의 12의사 가운데 한사람으로 일본군과 수차례 교전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는 특히 진주, 남원일대에서 격전하다 체포되어 수개월동안 옥고를 치렀다. 1912년 또다시 체포되어 하동경찰서에서 20일간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공훈록 : 최제학은 면암 최익현(勉菴 崔益鉉)의 문인으로서 전라북도 진안(鎭安) 출신이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무효화를 촉구하기 위하여 면암은 판서 이용원(李容元)·김학진(金鶴鎭)·관찰사 이도재(李道宰)·참판 이성렬(李聖烈)·이남규(李南珪) 등에게 글을 보내어 함께 거사할 것을 종용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면암은 제자들과 의논하여 태인(泰仁)에 있는 돈헌 임병찬(遯軒 林炳瓚)과 제휴하기로 하였으며, 이어 1906년 3월 3일 최제학은 면암의 서신을 가지고 돈헌을 찾아가 일을 성사시켰다. 이에 면암은 최제학 등 문인과 함께 6월 4일 태인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회동하여 유생 80여 명의 호응을 받아 6월 5일 정읍(井邑)으로 출발하였다. 정읍에서 각종의 무기를 접수하여 내장사에 들어가 유진하고, 6일 순창으로 들어가 무력을 보강하고 곡성으로 진군하였다. 9일 다시 회군하여 오산촌(鰲山村)을 거쳐 10일에 순창으로 되돌아왔다. 이때 왜병이 읍 동북쪽에서 들어온다는 보고가 들어와 돈헌이 군대를 이끌고 나아가 보니 왜군이 아니라 전주·남원의 진위대 군사들이었다. 면암은 관군인 진위대와 접전할 수 없다며 그들에게 물러날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진위대는 물러나지 않고 오히려 먼저 포화를 퍼부었다. 이때 중군장 정시해(鄭時海)가 적의 탄환에 맞아 순국하였다. 이 틈에 의진은 모두 흩어지고 면암의 곁에는 20여 명만이 남아 있을 따름이었다. 의병들이 대항하지 않자, 적은 포위망을 좁혀 왔으며, 이튿날 전원을 경성으로 압송한다는 황제의 칙명을 전달하였다. 이 때에는 면암과 최제학을 비롯한 13인만이 남았을 따름이었다. 이들은 전주를 거쳐 6월 18일 경성으로 압송되어 심문을 받았으며, 김기술(金箕述)·문달환(文達煥) 등은 석방하고, 최제학·고석진(高石鎭)은 구류 4개월, 그리고 면암과 돈헌은 8월 하순 대마도(對馬島) 유배형을 언도받았다. 최제학은 1907년 1월 대마도에서 순국한 면암의 운구(運柩)에 참여한 후 지리산 중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44page

최제학은 1906년 의병장 최익현선생 막하의 12의사 가운데 한사람으로 일본군과 수차례 교전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는 특히 진주, 남원일대에서 격전하다 체포되어 수개월동안 옥고를 치렀다. 1912년 또다시 체포되어 하동경찰서에서 20일간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공훈록 : 최제학은 면암 최익현(勉菴 崔益鉉)의 문인으로서 전라북도 진안(鎭安) 출신이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무효화를 촉구하기 위하여 면암은 판서 이용원(李容元)·김학진(金鶴鎭)·관찰사 이도재(李道宰)·참판 이성렬(李聖烈)·이남규(李南珪) 등에게 글을 보내어 함께 거사할 것을 종용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면암은 제자들과 의논하여 태인(泰仁)에 있는 돈헌 임병찬(遯軒 林炳瓚)과 제휴하기로 하였으며, 이어 1906년 3월 3일 최제학은 면암의 서신을 가지고 돈헌을 찾아가 일을 성사시켰다. 이에 면암은 최제학 등 문인과 함께 6월 4일 태인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회동하여 유생 80여 명의 호응을 받아 6월 5일 정읍(井邑)으로 출발하였다. 정읍에서 각종의 무기를 접수하여 내장사에 들어가 유진하고, 6일 순창으로 들어가 무력을 보강하고 곡성으로 진군하였다. 9일 다시 회군하여 오산촌(鰲山村)을 거쳐 10일에 순창으로 되돌아왔다. 이때 왜병이 읍 동북쪽에서 들어온다는 보고가 들어와 돈헌이 군대를 이끌고 나아가 보니 왜군이 아니라 전주·남원의 진위대 군사들이었다. 면암은 관군인 진위대와 접전할 수 없다며 그들에게 물러날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진위대는 물러나지 않고 오히려 먼저 포화를 퍼부었다. 이때 중군장 정시해(鄭時海)가 적의 탄환에 맞아 순국하였다. 이 틈에 의진은 모두 흩어지고 면암의 곁에는 20여 명만이 남아 있을 따름이었다. 의병들이 대항하지 않자, 적은 포위망을 좁혀 왔으며, 이튿날 전원을 경성으로 압송한다는 황제의 칙명을 전달하였다. 이 때에는 면암과 최제학을 비롯한 13인만이 남았을 따름이었다. 이들은 전주를 거쳐 6월 18일 경성으로 압송되어 심문을 받았으며, 김기술(金箕述)·문달환(文達煥) 등은 석방하고, 최제학·고석진(高石鎭)은 구류 4개월, 그리고 면암과 돈헌은 8월 하순 대마도(對馬島) 유배형을 언도받았다. 최제학은 1907년 1월 대마도에서 순국한 면암의 운구(運柩)에 참여한 후 지리산 중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44page

최제학은 1906년 의병장 최익현선생 막하의 12의사 가운데 한사람으로 일본군과 수차례 교전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는 특히 진주, 남원일대에서 격전하다 체포되어 수개월동안 옥고를 치렀다. 1912년 또다시 체포되어 하동경찰서에서 20일간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공훈록 : 최제학은 면암 최익현(勉菴 崔益鉉)의 문인으로서 전라북도 진안(鎭安) 출신이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무효화를 촉구하기 위하여 면암은 판서 이용원(李容元)·김학진(金鶴鎭)·관찰사 이도재(李道宰)·참판 이성렬(李聖烈)·이남규(李南珪) 등에게 글을 보내어 함께 거사할 것을 종용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면암은 제자들과 의논하여 태인(泰仁)에 있는 돈헌 임병찬(遯軒 林炳瓚)과 제휴하기로 하였으며, 이어 1906년 3월 3일 최제학은 면암의 서신을 가지고 돈헌을 찾아가 일을 성사시켰다. 이에 면암은 최제학 등 문인과 함께 6월 4일 태인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회동하여 유생 80여 명의 호응을 받아 6월 5일 정읍(井邑)으로 출발하였다. 정읍에서 각종의 무기를 접수하여 내장사에 들어가 유진하고, 6일 순창으로 들어가 무력을 보강하고 곡성으로 진군하였다. 9일 다시 회군하여 오산촌(鰲山村)을 거쳐 10일에 순창으로 되돌아왔다. 이때 왜병이 읍 동북쪽에서 들어온다는 보고가 들어와 돈헌이 군대를 이끌고 나아가 보니 왜군이 아니라 전주·남원의 진위대 군사들이었다. 면암은 관군인 진위대와 접전할 수 없다며 그들에게 물러날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진위대는 물러나지 않고 오히려 먼저 포화를 퍼부었다. 이때 중군장 정시해(鄭時海)가 적의 탄환에 맞아 순국하였다. 이 틈에 의진은 모두 흩어지고 면암의 곁에는 20여 명만이 남아 있을 따름이었다. 의병들이 대항하지 않자, 적은 포위망을 좁혀 왔으며, 이튿날 전원을 경성으로 압송한다는 황제의 칙명을 전달하였다. 이 때에는 면암과 최제학을 비롯한 13인만이 남았을 따름이었다. 이들은 전주를 거쳐 6월 18일 경성으로 압송되어 심문을 받았으며, 김기술(金箕述)·문달환(文達煥) 등은 석방하고, 최제학·고석진(高石鎭)은 구류 4개월, 그리고 면암과 돈헌은 8월 하순 대마도(對馬島) 유배형을 언도받았다. 최제학은 1907년 1월 대마도에서 순국한 면암의 운구(運柩)에 참여한 후 지리산 중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