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page

충북독립운동사개관 43 한 蠶箱 매각 대금을 착복한 일, ⑤ 官民子弟의 차별이 심한 일, ⑥ 학용품을 특정 일본인 상점 에서만 사도록 강요한 일 등이다. 그러나 학교 당국은 등교하지 않는 학생은 경관으로 하여금 체포하게 하여 유치장에 가두겠다고 윽박질러 학부모들의 분노를 샀다. 138) 이상과 같이 1920년대 충북지역 학생운동은 주로 일본인 교장과 교사 배척, 민족차별과 멸 시 에 대한 반발 등이 원인이 된 맹휴투쟁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1920년대 학내 문제 로 인한 맹휴투쟁의 전형적인 양상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제천공보 학생들의 2차 맹휴투쟁은 성 격 을 달리 하여 6·10만세운동과의 관련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 같으나, 이 또한 직접적인 관련 성 은 확인되지 않는다. 학생들의 맹휴투쟁은 1920년대 후반부터 식민지 노예교육을 반대하고 조 선인본위교육을 주장하고, 학내 문제가 아닌 학외 문제가 쟁점이 되거나 사상성을 지니는 등 새로운 경향이 보이나, 139) 충북지역의 경우 그런 양상은 발견할 수 없다. 충북지역의 경우, 淸州高普 의 맹휴 때에는 처음부터 학교 당국이 강경하고 고압적인 자세로 탄압에 나서 많은 학생들을 중징계하였다. 특히 제천공보 2차 맹휴나, 청주농업학교 맹휴는 교 장이나 군수 등이 등교하면 처벌하지 않겠다는 당초의 약속을 어기고 학생들을 중징계에 처한 간교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일제 측 자료에는 1920년대에 충 북지역에서 17회의 맹휴가 발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언론에 보도되어 본고에서 확인한 것은 9회뿐이다. 이는 아마도 계획 단계에서 발각되 어 실행되지 못한 맹휴나, 사회적 문제로까지 부각되지 못한 일부 맹휴가 언론에 보도되지 않 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② 1930년대의 학생운동 1929년 11월 3일 光州 에서 촉발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일제강점기 최대 의 학생운동이었다. 광주학생운동은 한일 학생간의 우발적인 충돌이 아니라, 1920년대에 축적 된 학생들의 투쟁 역량과, 조직과 발전을 거듭한 학생단체의 활동에 기초한 거대한 식민지 해방 투쟁이었다. 광주를 기점으로 일어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인근의 목포와 나주 등 전라지역과, 서울에서 2 차에 걸친 대규모 학생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 운동은 1930년 1월 중순경에는 전국적으로 확 산 파급되어 2월말 경까지 전개되었다. 140) 운동의 형태는 진정서 제출, 격문 살포, 맹휴, 교내시 위, 가두시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141) 광주학생독립운동에는 전국의 194개교(소학교 54, 중학교 136, 전문학교 4)에서 54,000 여 138 《朝鮮日報》, 1929년 6월 7일자. 139 《朝鮮日報》, 1928년 12월 22일자. 140 광주학생운동의 전국 파급상황은 광주학생독립운동동지회, 1996, 『光州學生獨立運動史』, 170~178쪽의 「광주학생독 립운 동의 지역별 상황(1929. 11~1930. 3)」 참조. 141 韓貞一, 1981, 『日帝下 光州學生民族運動史』, 전예원, 18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