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2page

되어 공동작전을 수행했다. 이들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주로 대적 방송 • 적문서번역 • 정보수집 • 포로심문동의 활동을 벌였따. 이들의 선전활동은 큰 성과를 거두어 영국군측은 광복군총;사령부에 더많은 인원파견을요청하기도했다. 제1지대의 인도 • 버마전구활동은일본군에 대한 총반격작전으로 1945년 7월 버마의 수도인 랑군이 탈환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한편 영국군은 한지성 퉁제1대에 이어 1943년 9월 제2대 16명의 파견을 요 청했으나 실현되지 않았고, 광복군행동준승9개조가 취소된 후 광복군은 영국 군과협정체결을준비 • 시도하기도했다_ 16) 저12. 3지대의 oss 합작훈련 임시정부의 목표는 연협국들로부터 임시정부의 승인을 얻어 연협군의 일원 으로 대일전에 깜가 해 해방시에 발언권을 확보하려는 것이었다 . 임시정부는 이런구도속에서 일본과독일에 대한선전포고를했다 . 그러나 연협국 의 외교 적 승인이 지체되었고, 행동준승9개조라는중국국민당정부의 광복군에 대한 통제도 광복군의 본격적인 대일 군 사 작전에 족쇄가 되어 있었다. 1944년 8월 중국군 참모총장 하응흠何1땐값이 9개준승 취소폼보를 해 오자 광 복군에 대한 지뚜권과통수권을 회복하게 되어 대연협국 외교와함께 군사적 합작을 추진했다. 1944∼45년간 광복군 제2지대를 중심으로 미국의 특수공작 기관인 전략첩보국(OSS Office of Strategic Service)과의 한반또 침투를 위한 합 동작전이 그구체적인 성과였다. 1944년 10월 광복군 제2지대장 이범석은 광복군과 oss의 합작을 제의하며 미군이 훈련한 한국인 요원들을 한반도와 일본에 침투시켜 첩보활동을 벌이자 고제안했다. 이로부터 광복군을 인적자원우로활용한다는구상이 성립됐고, 1945년 5월부터 한국광복군 2지대와 oss의 합작훈련, 즉 독수리작전(Eagle Project)이 본격적으로시작되었다. 이 계획얀은 최초에 60명의 요원을선발해 3 개월 동안 정보수집 · 보고 · 통신훈련을 실시한 후 그 중 45병의 적격자를 선 16)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269쪽 41。 고양독립운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