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page
- 36 - 들이 50명을 넘는다. 이 마을로 시집온 사람도 있고, 딸들도 있다. 이 들 이 모두 독립운동에 기여했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그렇다고 관계가 없 다 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김동삼의 며느리 이해동이 시어머니 박 순 부에 대해 회상한 말을 보면 여성들이 만주 망명과 독립운동에서 무엇 을 위해 어떻게 살았는지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시어머님은 혁명가의 부인으로서 손색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30세 의 나이로 고향에서 남편과 갈라진 시어머님은 아들 형제를 데리고 만 주에 와서도 남들처럼 남편과 함께 따뜻한 가정생활을 해본 적이 없었 다. 정말 과부나 다름없이 청춘을 살어 오셨던 것이다. 하얼빈 영사관에 서 체포되어 가족이 명회를 가는데 시모친은 남편을 만나러 가지도 않 았다. 이렇게 남편을 위하는 것이 나라를 위하는 것이라는 시어머님 생 각은 구식 여성으로서는 거룩하다고 생각한다. 평생 남편에 대해 불 평 한 마디 없었고, 말없이 참고 침묵으로 살아온 시어머님의 일생은 훌륭 하다고 생각된다. 시아버님께서 직업혁명가로 평생을 국권회복을 위하여 공을 세웠다면 그 속에는 시어머님 몫도 있다고 생각한다(이해동 회고록 만주생활 77년) 남편이 사망하자 따라 자결한 여성도 나왔다. 예안 출신 배재형이 황무 지를 개척하는 일에 몰두하다가 1919년 사망하였다. 이에 그의 아내가 18일 동안 단식한 끝에 남편 뒤를 따라 자결하였다. 그러자 한족회 는 1919년 6월 총재 이탁李沰의 이름으로 포열장褒烈狀을 드려 추모하였 다. 거기에는 “목숨을 버려 의를 취하고 효열을 다한 것이니 역사의 사표 가 될 만하다”고 적었다. 7) 독립운동가 부친과 남편을 뒷바라지하고, 아이들을 길러야 했다. 그것도 정상적인 수입이 있는 것이 아니고, 경험도 없는 농사에 매달리지만 흉 년 을 거듭 당하는 어려운 나날이었다. 그런 속에 결혼하고 아이 낳고, 어 른 모시고 병수발을 들고, 생활비를 마련해야 하는 고난의 나날들이었다. 더 구나 마적과 중국 군인들의 노략질에 목숨을 보전하는 것만으로도 고마 워 할 따름일 정도였다. 그러니 어느 순간도 무슨 행복이니 그런 말은 머 릿 속에 그려볼 틈도 없었다. 8) 허은의 회고를 보자. 7) 김희곤, 『안동사람들이 만주에서 펼친 항일투쟁』, 지식산업사, 2011, 233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