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page
독서와 독서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사서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219 심층 인터뷰는 설문조사 응답자 중 25명을 선별하여 그룹별로 진행하였으며, 각 그룹은 학생 그룹 (초등학생, 중학생), 학부모 그룹(미취학 자녀, 초등학생 자녀, 중학생 자녀), 사서 그룹(공공도서관, 초등학교 도서관, 중학교 도서관)으로 구성되었다. 2. 이론적 배경 2.1 용어의 정의 2.1.1 독서 독서의 의미는 ‘문자를 읽거나 문장이나 문단, 글을 읽는다.’는 가벼운 개념에서부터 ‘필자의 기호화 된 의미가 다시 형성되는 하나의 커뮤니케이션으로 독서자료, 독자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독자의 생리 적, 지적 활동이 상호 작용하는 전략적인 사고과정’이라는 복잡한 개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좁은 개념의 독서는 책자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매체와 나아가 문화, 사회 및 자연의 환경과 개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서 새롭게 의미를 재구성하는 개인의 전략적 사고 과정인 것이다(김효정 외 1999). 2.1.2 독서교육 독서교육(Reading Education)은 독서 지도(Reading Guidance)란 말과 혼용하여 사용한다. 독서 지도는 독서교육의 구체적인 실천을 말하는 것으로서 광의로는 ‘독서에 의한 인간형성’이라는 의미로 독서교육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협의로는 독서교육의 방법론과 그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여 “독서하는 태도, 지식, 기술 능력, 흥미, 습관 등의 형성과 개발의 지도”라는 관점에서 사용되고 있다. 독서교육은 초보단계의 문자지도와 글의 독해 지도로부터 도서의 선택과 활용 및 도서관 이용과 효과 적인 독서기술 등의 지도, 즉 독해교육=읽기 교육(문자의 해독)과 글의 독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양재한 외 2001). 2.2 선행연구 독서와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종성(2006)은 대구지역 초․중․고등학생 3,021명의 표본으로 학생들의 독서실태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독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조사를 통해 독서 자료의 입수 방법이나 도서정보원의 활용 등에서 공적 방법보다 사적인 방법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중한 학습량과 TV, 컴퓨터 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독서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독서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