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page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 69 보조 인력 간 상호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사서교사/사서의 자기인식을 재점검하 고자 하였다. 1.2 연구의 제한점 학교도서관의 운영인력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안양․과천의 44개 초등학교의 담당교사, 사서교사/사서, 자원봉사학부모, 학생 도서위원 등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을 전국의 모든 학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경기도내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분석방법 상의 한계로 인해 보다 실증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학교도서관 담당자들의 관련 업무에 대한 인식차이 , 즉 사서교사의 중요성에 주목함으로써 차후 사서교사의 확보 및 정당한 대우에 필요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의의를 지닐 수 있다. 2. 이론적 배경 2.1 사서교사의 역할 학교교육이 개선됨에 따라 현대교육체제의 변화가 도래하였으며, 이에 적절한 학교도서관의 역할 에 대한 제고가 시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그 영향을 받은 교육이론들은 학생들의 개성중심 학습형태를 강조하고 개별학습능력에 따른 교육은 교사중심교육, 교실내의 교육, 교과서 중심교육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적절한 시설과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학교 도서관 중심교육으로 지향하게 되었다 . 지식기반사회의 전문직 사서교사는 전통적인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과학기술의 거대한 힘에 따라 멀티미디어중심 학교도서관으로 그 위상을 날로 번창시켜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다.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사서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기능은 매우 다양하다. 학교도서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AASL & AECT의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에서는 사서교사들이 교수와 학습, 정보접근, 프로그램운영을 위해 9가지의 정보 활용 능력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사서교사가 수행하는 역할과 책임을 교사, 교수 협력자(instructional partner), 정보전문가(information specialist), 프로그램 관리자(program administrator)로 제시하고 있다(AASL & AECT 1998, 4-5).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에게 주어진 교사로서의 역할은 학습 및 정보요구를 분석, 자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전달하고 학생과 교육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하며 다양한 상태에 능숙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 정보 활용능력의 복잡한 기술을 계발하기 위한 특정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