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page

악한 노동환경을 형성했다. 1920년대 공업은 중화학의 비중이 매우 낮고, 정 미 · 고무·방직등1차가공공업에치중된기형적인구조였따. 그나마미약한 공업화로 인해 1922년 7월 한인노동자 약91만 명 중 공장노동자는 5만 명에 불 과했다. 조선인관 공장노동자보다는 막벌이꾼 · 지게꾼 등의 일용노통자층이 많았다. 이 때문에 노통운동이 발전하기 어려웠다. 3 · 1운동 때 운통의 대중화 과정에서 노동자들의 존재가치가 부각되었다. 노동자들도스스로시위운동을전개했는데,대표적인것이고양군둑도변뚝섬 지역에서 일어난우마~l꾼, 일용노동자등의 시위였다. 3 · 1운동이후전국적 노통자 조직을 철성하려는 움직임이 태동되어 1920년 4월 조선노동공제회가 조직되고, 전국 각지에 조선노동공제회의 지부가 결성되기 시작하여 1922년에 는전국적인단체로성장했다. 업체규모가작고노동자수도적어개별파업투 쟁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노동조직의 연대와 공조체제기- 필요해지자, 1922년 10월에는 조선노통연맹회가 조직되었다. 노동연맹회는 인쇄직공친목회 • 공 우협회 · 전치종사원조합·이발조합 · 진주노동공제회 · 김포노동공제회 동 노동자 2만여 명이 참가한단체로발전하였다 . 노동단체의 연대는 직능연대에서 지역연대로 발전하여 진주에서 32개 단체 가 참가한 경남지방 노동운동간친회, 98개 단체 대표가 참가한 전남노동연뱅, 대구의 64개 단체가참가한남조선 노동동맹이 지속적으로모색되어 1924년 4 월 전국 260여개 노동 · 농민운동단체의 5만3천여 명을 포괄하는 조선노농총 동맹의 성립을 보게 되었다. 노동계와 농민계가 합친 조선노농총동맹은 이해 관계가상이한경우투쟁강도가떨어지는약점이 있어 1927년 9월,농민단체와 분리하여 is61R의 노동단체와 2만 638영의 노동자를망라하는조선노동총동 맹이 창립되었다, 1930년대는 일제가 노동조합 결성을 위한 집회를 전면 금지했기 때문에 합 법적인 노동조직은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노동운동가들은 일제 의 탄압을 피해 비합법적인 노동조합을 조직하였고 사회주의운동과 연계시키 는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것으로함남흥남일대를중심으로 4차에 걸쳐 전개 된 태평양노동조-합사건, 서울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재유 그룹의 운동 원산지 348 고양독립운동사